개항 이후 10년간 불과 2만명
2016년 300만으로 정점 찍어
10대 국회까지 2~3석 그쳤던
의석수 20대엔 13석으로 늘어
인구 이동에 정치권 세포분열
▲인천은 빠르게 성장했다. 신도심을 중심으로 한 인구 증가는 해당 지역 정치인을 더 많이 국회로 보냈고, 빠른 속도로 광역·기초의원을 늘렸다. 지역별 정치인의 증감이 곧 원·신도심을 구분 짓는 잣대와 같다. 사진은 문학산 정상에서 인천 시가지 모습이다. /사진제공=인천시
▲인천은 빠르게 성장했다. 신도심을 중심으로 한 인구 증가는 해당 지역 정치인을 더 많이 국회로 보냈고, 빠른 속도로 광역·기초의원을 늘렸다. 지역별 정치인의 증감이 곧 원·신도심을 구분 짓는 잣대와 같다. 사진은 문학산 정상에서 인천 시가지 모습이다. /사진제공=인천시

한 세기, 인천은 앞만 보고 달렸다. 1만명 남짓하던 한적한 어촌에서 1세기만에 300만 메가시티로 성장했다.

인구의 증감은 도시의 지속성을 의미한다. 그만큼 모든 분야에서 민감하게 받아들이며 정치권에서 우선 전략으로 인구 방어를 위해 정책 개발과 추진에 나선다. 인구절벽이라는 위기 앞에 몸부림치는 여러 지방 도시가 이를 증명한다.

급성장한 인천은 새롭게 부상한 신도심 의견에 절대적으로 의존할 수밖에 없다. 반면 인구가 빠져나가 공동화 현상을 겪는 인천 원도심(구도심)은 신도심보다 상대적으로 소외됐다며 불만을 토로한다.

인천은 신도심을 중심으로 꾸준히 정치력을 키웠다. 인천부(갑·을)에서 인천시(갑·을·병)로, 다시 인천시 중구·동구·남구(현 미추홀구)·북구로 대표되는 인천의 원도심에서 남동구와 서구, 계양구, 연수구로 도시가 급격히 팽창하며 그것에 맞게 정치권도 커갔다. 여기에 송도·영종·청라라는 경제자유구역까지 더해지며 인천의 현재 도심이 완성됐다. 그러나 원도심은 신도심의 그늘에 가려 인구가 줄어들며 정치력도 덩달아 떨어졌다. 인천의 인구 증감에 따른 인천의 정치력의 변화상을 살펴봤다.

▲ 인천직할시청 개청식 모습. 1985년 서정화 내무부장관과 김찬희 당시 시장이 현 구월동 시청사에 현판을 달고 있다. /사진제공=인천시
▲인천직할시청 개청식 모습. 1981년 서정화 내무부장관(왼쪽)과 김찬회 인천시장이 중구 관동1가 인천시청사(현 중구청)에 현판을 달고 있다. /사진제공-인천시

▲300만 인천의 견인차는 '신도심'

1883년부터 10년간 인천부와 부평부 인구가 각각 약 1만여명씩 도합 2만여명에 불과했던 것이 일제강점기인 1931년 6만3881명, 1937년 10만2473명으로 불었다. 일제의 병참기지화 전략에 한반도 인구가 인천으로 속속 집결한 것이다. 해방 이후인 1949년에는 26만5789명으로 증가했고, 고도성장기 초입이었던 1963년에는 44만5378명까지 늘어났다.

그리고 1981년 직할시 승격 2년 전인 1979년에 인구 100만명을 넘어선 인천은 1995년 광역시 시대를 거치며 200만명으로 성큼 뛰어올랐고, 주민등록상 외국인까지 포함한 인천 인구는 2016년 300만명선을 돌파하며 정점을 찍었다.

2020년 295만명으로 내려앉으며 정체기를 보이고 있지만 통계청 분석대로라면 2034년 즈음에 인천 인구는 304만명이 돼 부산 인구를 앞지르게 된다.

강옥엽 전 인천시사편찬위원회 전문위원은 “인천은 일제시대 군수공업단지로 성장하며 군수용품 제작 및 수송을 위한 인구 이동이 이뤄졌다”며 “해방 후 1960·70년대 경제개발 5개년 계획으로 전국에서 많은 사람이 인천으로 몰린 데 이어 1995년 도시와 농촌을 통합하는 새로운 국토개발 전략에 의해 광역시로 확장됐다”고 분석했다.

한국은행 인천본부는 2018년 '인천지역 인구유출입 변동의 특성과 시사점' 분석을 통해 “2007년과 2011년 남동구의 논현·소래지구, 서구의 검암·경서·청라지구, 연수구의 경제자유구역(송도국제도시) 등 각종 대규모 택지조성사업으로 인한 아파트 입주물량의 비약적 증가가 인구유입을 크게 증가시키고 인구유출은 억제시킨 결과로 이해된다”고 강조했다.

▲선거, 신·원도심을 구분짓는 '이정표'

인천의 정치력도 급증하는 인구수에 맞춰 수직상승했다. 특히 1981년 직할시 승격 후 인천의 택지개발 등을 중심으로 인천 정치권의 세포분열이 정점에 달했다.

1948년 제헌국회를 시작으로 1978년 10대까지 인천 전역에 걸쳐 2~3명에 불과하던 인천 국회의원 의석수는 직할시 승격 후 도심이 중구·남구, 동구·북구로 나뉘어 각각 2명씩 국회의원을 배출했다. 1988년을 거치며 남구·남동구·북구·서구의 인구 급증에 7명까지 늘어났고, 1995년 광역시가 되며 강화군과 옹진군이 경기에서 인천의 품에 안겼다. 이후 연수와 계양택지개발이 성공적으로 안착했고, 허허벌판이던 서구의 검암·경서지구에 아파트가 밀집하기 시작했다. 또 송도를 선두로 청라·영종까지 경제자유구역이 들어서며 현 인천의 도심이 완성됐다. 1970년대 이후 반세기 만에 신도시와 원도심이 완벽히 분할된 것이다. 이들 지역을 중심으로 국회의원도 빠르게 늘어나며 2016년 20대 국회에서는 13명의 국회의원이 300만 인천을 대표하게 됐다.

21대 총선이 열린 2020년 4월13일, 13명의 인천지역 국회의원이 선출됐다. 21대 인천 총선을 통해 인천 도심의 신·원도심 구분은 확연해졌다. 인천의 근간이었던 중·남·동·북부 지역은 현상 유지에 급급한 데 비해, 남동구와 서구는 인구 증가에 따른 국회의원 증원이 요구됐다. 또 송도·청라·영종 등 인구 유입지역의 정치적 목소리가 더욱 커지며 다음 번 총선에서의 정치적 변화도 감지되고 있다. 반면 인구 정점에서 뒷걸음질 치기 시작한 계양구는 향후 총선에서 현 선거구를 유지할지는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다.

지방선거를 통해 뽑힌 인천의 광역·기초의원 숫자만으로도 도심의 성장과 쇠퇴를 쉽게 알 수 있다. 6만 동구를 책임지는 인천시의원은 2명에서 1명으로 줄었고, 강화·옹진 또한 1명이 전부다. 기초단체장과 광역의원 숫자가 같은 상황으로, 광역의원 의석수 증가일로인 연수구·남동구·서구가 부럽기만 하다. 부평구도 도심 내 원도심은 줄고, 부개·삼산 등 신도심을 중심으로 시의원이 꾸준히 늘며 정치적 무게추가 쏠리는 상황이다.

/이주영·김원진·이창욱 기자 leejy96@incheonilbo.com



관련기사
[선거, 도심 흥망성쇠 바로미터 되다] 1. 목소리 큰 신도시 따라 국회의원 배지도 는다 “정치는 살아 꿈틀거리는 생물과도 같다”, 다양한 현상에서 박제화되지 않고 끊임없이 변하며 뜻을 관철하는 정치의 행태를 일컫는 유명한 표현이다. 말은 거창하지만 뜻은 분명하다. “언제, 어디서든 바뀔 수 있다”는 의미이다. 여기서는 정책 실현을 위한 변화의 수단으로 '정치'를 일컫는 게 아니다. 인천 정치인의 선거구별 증감을 통해 인천 도심의 '흥망성쇠'를 엿보자는 것이다. 제헌국회 당시 2명으로 시작한 인천, 이제는 13명으로 거대해졌지만 인천은 인구 대표성·지역 대표성·선거구 법정주의 모든 것에서 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