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48년 2명서 도시 성장 거치며
현재 13명으로 거대해 졌지만
인구 감소하는 원도심 대부분
선거구 통폐합…정치적 소외 당해

“정치는 살아 꿈틀거리는 생물과도 같다”, 다양한 현상에서 박제화되지 않고 끊임없이 변하며 뜻을 관철하는 정치의 행태를 일컫는 유명한 표현이다. 말은 거창하지만 뜻은 분명하다. “언제, 어디서든 바뀔 수 있다”는 의미이다. 여기서는 정책 실현을 위한 변화의 수단으로 '정치'를 일컫는 게 아니다. 인천 정치인의 선거구별 증감을 통해 인천 도심의 '흥망성쇠'를 엿보자는 것이다. 제헌국회 당시 2명으로 시작한 인천, 이제는 13명으로 거대해졌지만 인천은 인구 대표성·지역 대표성·선거구 법정주의 모든 것에서 타 지역보다 후발주자다. 이에 인천 선거구 조정을 통해 도심의 변화상을 살피고, 그에 따른 정책 수정 가능성을 점쳐본다.

인천은 불쑥 컸다.

서해의 자그마한 도시가 개항을 거치고, 일제강점기를 지나 한국전쟁의 상처를 이겨내며 150여년간 성장만을 거듭했다. 인천의 원(原)도심이던 중·동·남(미추홀구)·북(부평구)는 도심 팽창에 맞춰 엄청난 세포분열을 일으켰다. 남구는 남동구와 연수구로, 북구가 쪼개져 서구와 계양구가 탄생했다. 그리고 1995년 광역시로 지정되며 경기도의 강화군과 옹진군까지 인천의 품에 안겼다. 인천은 10개 군·구로 안착됐고, 인천 경제자유구역을 중심으로 조심스러운 분구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다.

요즘 인천의 골치인 인구감소와 도시불균형은 원도심을 중심으로 빠르게 진행 중이다. 심지어 남동·연수·서구·계양구 등 원도심에서 분구된 지역 내에서도 원·신도심 문제는 심각함을 넘어 도시 근간마저 흔들고 있다.

인천의 성장과 쇠락의 잣대는 '선거'이다. 인구수가 의원정수 기준의 중심인 만큼 과거와 현재의 인구 이동과 성장을 확연히 알 수 있다. 특히 요즘 부쩍 심해진 신도심의 발언권 강화에 눈치 빠른 정치권의 대응은 전광석화 같고 목소리조차 희미해진 원도심의 행정 소외 현상은 눈에 띌 정도로 안쓰럽다.

▶관련기사 3면

인천 국회의원은 1948년 2명에서 시작해 직할시 승격 후 7명까지 늘었다. 1995년 광역시 지정과 함께 11명으로 급성장했고, 지난 4월 치러진 제21대 국회의원 총선거를 통해 13명이 선출됐다. 인천보다 약 50만명 인구가 적은 대구의 12명 국회의원, 인천보다 약 40만명 많은 부산의 18명 국회의원과 분명히 형평성에 어긋난다.

인천 국회의원은 신도시 남동구 성장의 상징인 1992년(14대), 신도시 계양구의 정치력 상승을 보인 1996년(15대)에 이어 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의 송도·청라·영종 경제자유구역이 13개 선거구를 뒤흔들었다. 원도심인 중·동·남·북구는 인근 신도심에 따라 선거구가 휘둘리며 정체성을 더는 찾을 수 없고, 남동·연수·서구·계양구 또한 신도심의 화려함을 뒤안길로 도심 상당수가 쇠퇴함에 따른 동(洞)간 격차가 심각한 지역 문제로 대두됐다.

김민배 인천시 자치분권협의회 위원장(인하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은 “요즘 인천은 온통 교육과 부동산에만 관심 있는 것 같다. 송도·청라·영종을 중심으로 교육이 활성화되는 등 지역 기득권화가 확실해졌다”며 “그 지역분들의 활발한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정치력까지 얻으며 SNS가 원활하지 않은 원도심 나이드신 분들은 선거 영역의 입장을 세우지 못했다”고 진단했다.

/이주영·김원진·이창욱 기자 leejy96@incheonilbo.com



관련기사
[선거, 도심 흥망성쇠 바로미터 되다] 1. 신도심 인구유입, 정치판도 흔들다 한 세기, 인천은 앞만 보고 달렸다. 1만명 남짓하던 한적한 어촌에서 1세기만에 300만 메가시티로 성장했다.인구의 증감은 도시의 지속성을 의미한다. 그만큼 모든 분야에서 민감하게 받아들이며 정치권에서 우선 전략으로 인구 방어를 위해 정책 개발과 추진에 나선다. 인구절벽이라는 위기 앞에 몸부림치는 여러 지방 도시가 이를 증명한다.급성장한 인천은 새롭게 부상한 신도심 의견에 절대적으로 의존할 수밖에 없다. 반면 인구가 빠져나가 공동화 현상을 겪는 인천 원도심(구도심)은 신도심보다 상대적으로 소외됐다며 불만을 토로한다.인천은 신도심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