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인천이 안고 있는 교통사고 다발의 악순환이 단발적인 징벌 같은 조치로 해결할 단계를 넘어서지 않았나 생각한다. 인천은 교통사고 발생률이 우리나라 광역시중 가장 높다. 이같은 불명예 씻기가 시민적 과제로 떠오른 지 오래인데도 좀처럼 나아질 기미가 보이지 않으니 딱한 일이 아닐 수 없다. 사고다발의 악순환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면 어딘가 잘못돼도 크게 잘못된 것이다. 따라서 우리는 안전운행에 대한 전반적인 시스템 점검이 있어야 한다고 본다.
 이런 맥락에서 인천시가 자동차 운송사업장의 교통사고 지수를 산출, 일정지수를 넘으면 사업면허 취소 등 전에 볼 수 없었던 강력한 행정조치를 취하기로 한 것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자 한다. 사고지수 산출방법은 차량보유 대수를 사고건수와 나눠 10으로 곱한 수치로, 사고건수는 <&27757>사망사고 1건 <&27757>중상사고 0.7건 <&27757>경상사고 0.3건 등이 적용된다. 시는 이같은 사고지수를 기준으로 지난해 1만5천2백62개 업체의 지역내 4만1천7백69대의 차량중 228건(0.5%)의 교통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집계됐다.
 지금까지 소극적으로 대처해온 인천시가 갑자기 심기일전의 의지를 갖게된 데에는 그럴 만한 까닭이 있을 것이다. 아닌 게 아니라 자동차 운송사업은 단순한 기업활동이 아니라 공익성을 띠고 있다. 시민의 발인 동시에 물류의 중심에 서 있다. 그러기에 사고로 입은 피해는 당사자나 당해 사업장에 국한되지 않고 사회전반에 큰 타격을 가하게 된다. 당국은 당국대로 인력 예산 부족 등을 이유로 교통지도 단속에 소홀하고 운전자는 운전자대로 법규위반을 예사로 하는 현실에서는 교통문화 선진화는 요원하다. 사고를 줄이려는 당국의 노력과 함께 운전자들의 교통법규 준수 생활화가 절실하게 요구된다.
 또한 사업체가 안전운행을 위한 시스템을 어느 만큼 구축해왔는지 따져볼 일이다. 정비불량이 사고로 이어지기 마련이어서 여러 나라들이 정비·점검 종사자 교육에 치중하고 있음을 눈여겨 보아야 하겠다. 사고를 많이 내면 사업정지나 감차 등 불이익이 돌아가게 한 것은 시의에 맞는 조치라고 여겨진다. 하지만 자동차 운수사업체들이 당면하고 있는 애로와 경영을 고려한 세심한 배려를 해야할 것이다. 너무 조급하게 서둘다 보면 일이 뒤틀리기 쉽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