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실련 "30평형 17년간 평균 2억6000만원 올라”
경기도 67개 표준지 아파트 시세 정권별 변동 현황. /경실련 제공
경기도 67개 표준지 아파트 시세 정권별 변동 현황. /경실련 제공

연봉 3400만원을 받는 경기도민이 도에 있는 아파트를 사려면 돈 한 푼 쓰지 않고 14년을 모아야 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2003년 이후 도내 아파트값 대부분이 노무현·문재인 정부 때 올랐다는 조사 결과도 뒤따랐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은 22일 기자회견을 열고 “도내 30평형 아파트값은 2003년부터 올해까지 17년간 평균 2억6000만원(2억원→4억6000만원)이 올랐다”며 “이는 연봉 3400만원을 받는 노동자가 임금 전액을 모은다는 가정하에 14년이 뒤에야 아파트 한 채를 마련할 수 있다는 말”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특히 2억6000만원 중 96%에 해당하는 2억5000만원이 노무현·문재인 정부 때 상승한 것으로 확인됐다. 실제 도내 아파트 값은 노무현 정부에서 1억1000만원(2억원→3억1000만원)이, 문재인 정부에서 1억4000만원(3억2000만원→4억6000만원)이 올랐다”고 강조했다.

분당·평촌·산본·일산·중동 등 도내 5대 신도시 아파트값도 문재인 정부에서 가장 많이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성남 분당 시범단지 우성 아파트의 경우 조사 대사 중 집값이 가장 많이 오른 것으로 확인됐다. 이 아파트 32평형은 17년간 평당 평균 2651만원(1147만원→3798만원) 상승했는데, 문재인 정부 때에만 1860만원 오른 것으로 조사됐다.

이 밖에 도내 아파트값은 이명박 정부 때 3000만원(3억1000만원→2억8000만원) 하락했고, 박근혜 정부 때는 4000만원(2억8000만원→3억2000만원)으로 상승했다. 박근혜 정부의 경우 연봉 3100만원을 받는 노동자가 임금 모두를 저축한다면 아파트 구매까지 10년이란 시간이 필요하다.

경실련 관계자는 “서울 아파트값이 폭등하면서 도내 아파트값 역시 동반 상승하고 있다”고 꼬집으며 “정부가 서울 아파트 '핀셋 정책'에 매몰된 사이 집값 폭등이 전국적인 현상으로 번졌다”고 지적했다.

이어 “집값 문제는 국민의 삶을 심각하게 위협하고 있다. 더 늦기 전에 제대로 된 진단을 해야 하고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한편 경실련은 KB 국민은행 등 부동산 시세정보를 활용해 지난 2003년부터 올해까지 도내 31개 시·군 표준지에 있는 67개 단지 6만여 가구의 시세를 정권별로 비교·분석했다. 노동자 연봉은 통계청 고용 형태별 임금자료를 활용했다.

/임태환 기자 imsens@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