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청의 주요업무는 한마디로 자금·기술·인력난으로 어려움을 겪는 중소기업을 살리고 경쟁력을 키우는 데 있다. 따라서 실효성 있는 지원대책을 마련하고 이를 차질 없이 추진해야 함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다. 그동안 중소기업을 지원키 위한 각종 지원대책이 수없이 쏟아져 나왔으나 실제로 중소기업의 사정이 나아졌다거나 어려움이 해소됐다고 보기 어렵다. 그 이유중 하나가 일선 지방중기청의 인력부족에 있다면 기구를 확대 개편할 필요가 있다.
 최근 인천중소기업청에 대한 행정자치부의 조직진단 결과 30여명의 직원으로 8천5백여 중소기업에 대한 지원업무를 수행하기는 무리이므로 기구 확대개편이 불가피한 것으로 지적됐다. 이에 따라 조직개편작업이 추진되고 있는 것은 뒤늦게나마 다행한 일이다. 인천중기청은 지난 96년 개청 당시부터 2급지청으로 분류돼 서울, 부산, 대구·경북, 부산·울산, 광주·전남중기청 등과 차별화됨으로써 지금까지 중소기업 지원업무에 많은 애로를 겪은 게 사실이다.
 인천지역은 남동공단 등지에 8천5백여 중소제조업체가 산재해 광주·전남, 충북, 경남지역보다 실제로 업체수나 생산규모가 훨씬 크다. 중소기업청이 지방청을 신설하면서 각 지역의 생산규모나 업체수 그리고 실물경제의 비중 등을 제대로 파악치 않고 결정한 것은 행정편의주의가 아닐 수 없다. 중기청의 위상과 권한에 따라 정책수립에는 한계가 있고 집행권한을 실질적으로 행사하는데 문제가 따를 것은 분명하다.
 중기청은 중소기업들이 겪고 있는 경영난의 본질이 어디에 있는지를 진지하게 찾아내야 한다. 가장 절실한 어려움이 무엇이고 실질적인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어떻게 도와야 하는지를 산업현장에서 찾아야 할 것이다. 이렇게 볼 때 인천중기청의 직원 한사람이 평균 300여 중소기업을 담당하기엔 사실 벅차고 지원업무는 형식에 그칠 수밖에 없다. 과연 중소기업들이 그동안 제대로 지원혜택을 받아왔는지를 묻고 싶다.
 중소기업을 육성발전시켜야 한다는 데는 이론이 있을 수 없다. 하지만 담보나 신용이 취약한 중소기업은 끊임없이 자금난에 시달리고 인력난을 겪고 있는 현실이다. 중소기업이 안고 있는 문제의 본질을 성의 있게 파악하고 지원하려는 진지한 노력이 필요한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