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세계 주요 항들은 해양문화와 유통 관련 산업지역 등 종합적인 공간으로 항만구조를 재구성하고 있는 추세다.
 그러나 국내 항만은 배후지역과의 연계성 검토보다는 자연적 입지여건에 중점을 두고 개발하는 데만 치중, 확장에 걸림돌이 되면서 항만간 해상운송 확대에 따른 물동량 증가 등으로 여러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수도권의 집중화를 해소하고 체선·체화가 심각한 인천항의 대체항만이라는 역할아래 대중국 교역의 교두보로 개발되고 있는 평택항도 이 범주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고 있다.
 평택항 개발은 국토종합개발계획에 의한 아산만권 광역개발사업 가운데 최대 핵심사업으로 동일 권역내 각종 사회간접자본(SOC) 시설의 건설과 연계체제를 구축하는 방향으로 계획돼 있음에도 불구, 사업시기가 맞지 않아 이미 건설된 SOC의 활용도가 저하되는 등 시너지 효과를 전혀 유발하지 못하고 있다.
 이 때문에 향후 추가로 설치돼야 할 SOC시설 가운데 평택항 화물유통 체계와 직결되는 산업철도의 경우 구체적인 계획이 수립되지 않은 채 사업추진이 지연되고 있다.
 또 포승공단을 비롯한 군소 공단들도 평택항의 배후이자 아산만 광역개발권역이면서도 수도권정비계획법의 적용을 받아 공장 신·증설이 제한받는 등 모순이 현존하고 있다.
 특히 평택항 종합개발기본계획에서 이같은 문제점을 파악하지 못해 관련산업의 유치가 어려워져 평택항 개발촉진과 활성화에 걸림돌로 작용하는 결과를 낳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항만 관련 각종 산업을 유치하기 위해서는 항만지원 체제의 구축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통상 항만 안에는 관련산업에 참여하고 있는 민원인들에게 편의와 항만정보 등을 신속히 제공할 수 있도록 세관·출입국관리사무소·검역소(CIQ) 기관들이 기본적으로 상주해야 하나 평택항의 실정은 그렇지 못하다.
 또 현대 항만개발은 기능이 광역화, 종합화되는 추세임에도 불구, 지역 발전전략과 연계화되지 못해 개발완료 뒤 부두운영 활성화 및 합리화 방안이 제시되지 못하고 있는 형편인 것.
 이와 함께 주변환경과의 조화를 통해 주민들이 쉽게 접할 수 있는 친수공간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는 부분도 평택항이 풀어야 할 과제로 지적되고 있다.
 평택시 윤중석 항만정책팀장은 “평택항은 종합항만으로 뻗어나가기 위한 정책의 미비 등으로 발전가능성에 큰 제약을 받고 있는 만큼 종합 물류체제 구축을 위한 정책적 지원이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라고 말했다. 〈평택=한익희기자〉
ihhan@incheo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