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건비 상승보다 본사 지출비용 더 부담 … "수익구조 개선 필요" 목소리
▲ 내년 최저임금 인상에 따라 편의점 업계가 후폭풍에 시달리고 있다.17일 수원의 한 점포에서 직원이 청소를 하고 있다. /김철빈 기자 narodo@incheonilbo.com
내년도 두 자릿수 인상을 기록한 최저임금을 두고 소상공인들의 반발이 이어지는 가운데, 최저임금 인상에 따른 인건비 논쟁보다 근본적으로 가맹점과의 수익 구조를 바꿔야한다는 목소리가 설득력을 얻고 있다.

17일 오전 10시쯤 만난 수원시 권선구의 한 편의점주 A(35)씨는 이번 최저임금 인상을 두고 소위 소상공인인 점주 '을'과 아르바이트생 등 '병'과의 싸움으로 몰고 가는 '프레임' 자체가 잘못됐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최저임금 인상에 따른 인건비 상승이 버거운 것은 어느 정도 사실이지만, 논란의 본질은 대기업과의 '가맹점 수수료'에서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현재 그가 알바생 4명에게 지출하는 금액은 전체 매출의 20% 가량이다. 하지만 사실 가장 큰 액수를 차지하는 것은 가맹점 수수료다. 계약상 기본 비율은 35%, 본사가 내주는 전기세를 포함하면 대략 30% 정도다. A씨는 나머지 70%에서 인건비와 임대료, 카드수수료 등 관리비를 제하고 남은 금액을 갖게 된다. 최종적으로 그에게 떨어지는 금액은 300만원 전후, A씨가 밤낮으로 쉬지 않고 번 '노동의 대가'는 딱 이 정도다.

다른 업종 가맹점도 별반 다르지 않다. 수익 구조상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는 건 역시 본사의 몫이다.

지난해까지 안양에서 카페 프랜차이즈를 운영하다 결국 가게를 넘겼다는 B(29)씨는 "하루 300잔을 팔아도 수익이 없다"고 말했다.

해당 가맹점은 저렴한 가격으로 좋은 음료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그만큼 본사의 관리는 철저했다.

초기 인테리어부터 재료를 구매하는 곳까지 모두 본사가 정해준 업체를 통해야만 했다. 우유 하나라도 바꿨다간 '계약 위반'의 소지가 됐다. 매달 본사 물품을 구매하는 재료비만 평균 1000만원을 넘나들었다. 이는 전체 매출액의 40% 정도다. 그는 별개로 가맹점 수수료 역시 연간 600만원을 부담했다.

B씨는 "4500원짜리 메뉴를 팔면 비싼 재료값을 제하고 온전히 남는 금액은 1500원 가량이다. 매일 가게에 상주하며 바삐 일해도 마이너스"라며 "최저임금이 오른다는 소리가 끔찍하게 들리는 건, 현재 대부분 소상공인이 직접 가게에서 일하면서 인건비라도 줄여보려 애쓰는 막다른 상황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처럼 최저임금에 대한 소상공인들의 셈법을 단순히 인건비 문제로 볼 것이 아니라는 게 현장의 목소리다. 고정비용으로 지출되는 가맹 수수료 등 수익 구조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특히 그 일환으로 대기업에 비해 높은 가맹점 카드수수료 인하가 해결책 중 하나로 거론되는 상황이다.

문재인 대통령이 16일 수석·보좌관 회의에서 '카드수수료 인하'를 언급한데 이어, 더불어민주당 당대표 출마를 선언한 김진표(수원무) 국회의원이 같은 주장을 내놨다.

김 의원은 17일 한 라디오방송에 출연해 "최저임금 대책으로 카드수수료 인하가 필요하다. 현행 절반 수준인 1%까지 내릴 수 있다"며 "대기업의 신용도가 높다는 이유로 카드회사들이 수수료를 차별하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전국 18개 가맹점주가 소속된 '전국가맹점주협의회연석회의'의 정종열 정책국장 역시 "가맹점별로 차이가 있으나 현행 구조가 불합리하다는 것은 공통적"이라며 "가맹비율을 적정 수준으로 조정하고 본사에서 필수 구매로 지정한 용품들을 최소화하는 등 제도 변화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김은희 기자 haru@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