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관문 인천국제공항이 입지하고 있는 영종도에 항공정비단지(MRO)를 조성하는 문제는 더 이상 지체할 수 없는 현안이다. 이 사업의 타당성을 열거하자면 차고도 넘친다. 그럼에도 인천공항 MRO 사업은 그간 지역균형발전 논리 등에 가려 여전히 지지부진하다. 세계 굴지의 인천국제공항이 항공정비단지 하나 갖추지 못해 안전 운항에 지장을 초래하는 것은 국민의 안전을 외면하는 것이나 다름없다 할 것이다.
인천공항 MRO 사업의 시급성은 올해 국회 국토교통위 국정감사에서도 지적됐다. 인천공항을 드나드는 항공기들이 정비부실로 지연·결항 비율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는 것이다. 최근 5년간 인천공항에서 정비 부실로 인한 결항 혹은 지연은 각각 10.7%, 13.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한다. 지난 2015년의 경우 전년 대비 정비 문제로 인한 결항은 15.2% 증가했으나 2018년엔 전년 대비 27.8%나 늘었다. 지연편 증가율은 2015년 5.1%였으나 2018년엔 17.0%로 급증했다.

항공기 정비 부실로 인한 지연·결항률 증가는 인천공항의 경쟁력 저하로 연결된다. 또한 결항·지연 피해는 고스란히 공항 이용객들이 받게 된다. 따라서 국민안전과 편의를 위해서도 인천공항 MRO 사업이 서둘러 추진돼야 한다는 지적이 다시 한 번 제기된 것이다.

인천공항은 항공·해상 물류가 연결된 다중복합 물류중심이어서 MRO 사업 추진에 필요한 부품 조달·운송 등에 유리한 입지조건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또한 인천공항 MRO 단지는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급증하는 항공정비 수요를 흡수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왔다. 중국은 자국 항공수요 증가로 MRO 시설이 포화 상태이고 일본도 자국기 위주로 정비를 수행하기 때문이다. 인천 지역 출신 윤관석 의원은 "연간 6000만명 이상의 여객이 이용하고 하루 평균 1100편의 항공기가 운항되는 대형 허브공항에 항공정비단지는 필수적인 인프라"라고 지적했다.

현재 국회에는 인천공항공사가 MRO 클러스터 조성에 나설 수 있도록 하는 '인천국제공항공사법 일부 개정안'이 발의돼 있다. 국민안전을 위해서도 인천공항 항공정비 인프라는 서둘러야 할 사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