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13년 시작된 '수원·화성 군 공항(이하 군공항)' 이전 사업은 장기간 겉돌았다. 해당 도시인 수원, 화성시 간의 대화는 단절된 채 제각각 시민을 향한 여론전에 몰두해왔다. 그 새 6~7년의 세월이 흘렀고, 두 도시 간 갈등 고조는 물론 행정·재정적 소모 또한 적지 않다.
하지만 올해 들어 상황이 다소 달라졌다. 올 초 제기된 '경기남부권 신공항 건설' 이슈가 도민의 광범위한 호응을 얻고 있기 때문이다.
경기도시공사가 민·군 통합공항을 전제로 실시한 '경기남부 신공항 타당성 검토용역' 결과도 이를 뒷받침했다. '비용 대비 편익 수치가 공항 경제성 기준치 1을 초과해 2이상 나왔기 때문이다. 덩달아 경기남부권의 유력 정치인들과 시민들도 이를 현실화하기 위해 힘을 보태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수원시는 최근 '군공항 이전'이라는 기존 이슈 대신 '경기남부권 신공항 건설'이라는 의제로 경기도와의 대화에 나섰다.
하지만 경기도는 "관심은 있지만 특별한 조치는 없을 것"이란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돌아보면 군 공항 이전이라는 국책사업이 확정된 이후 해당사업 주체인 국방부는 관망만 했을 뿐이다. 그 사이 해당 지자체인 수원·화성시 간의 갈등은 날로 고조돼왔다.
국책사업을 기초지방자치단체에 맡기고 나 몰라라 하는 국방부도 문제지만, 740만 경기남부권 도민을 위한 남부권 신공항 건설에 소극적인 경기도의 태도 역시 부적절해 보인다.
남부권 신공항 이슈를 띄운 것은 수원시지만 사실상 역할은 거기까지니 말이다.
이는 국토부가 지난 4월 제3차 항공정책 기본계획(2020~2024년) 수립에 들어갔기 때문인데, 기초자치단체인 수원시가 국토부를 상대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어떻게든 기본계획에 반영될 수 있도록 경기도가 적극적인 역할을 해 줄 것을 요청하고 있다.
물론 경기도가 나선다고 반드시 이뤄질 것이라 볼 수 없지만 최대한의 노력은 기울여야 할 것이다. 경기남부권 740만 주민들의 열악한 항공기 이용 환경을 언제까지나 방치할 순 없는 일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