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닷모래 채취 중단이 길어지면서 골재대란이 현실화되고 있다고 한다. 특히 바닷모래 채취업체가 10여 곳이나 되는 인천의 경우, 지역경제에도 그 영향이 파급되고 있다는 것이다. 바닷모래 채취 문제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닌데도 그간 채취 중단과 채취 재개를 반복하면서 미봉책으로만 대처해왔다. 해양 환경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건설현장의 골재 대란을 우려하는 입장 모두 그만한 이유가 있다. 북한이나 외국에서 수입하면 그만이라는 생각도 난센스다. 국토부든 해수부든 정부는 문제 해결사의 역할을 회피해서는 안된다.

바닷모래 채취 중단으로 인천지역을 중심으로 한 바닷모래 채취업체들이 고사 위기라고 한다. 지역경제와 일자리에 타격을 주고 건설현장에서는 단가상승, 불량골재 사용 등이 우려되고 있다. 국토부는 올해 전체 골재 수급량의 8.1%인 2160만㎥를 바닷모래로 충당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해수부와 바닷모래 채취 지역 어민들의 반발 등으로 협의가 지연되면서 올해 들어 바닷모래 채취량은 전무한 상태다. 서해 EEZ 채취량의 60%와 옹진군 연안의 채취를 담당해 오던 인천지역 채취업체들은 4년째 이어진 채취물량 기근으로 줄도산 위기다. 적게는 7개월, 많게는 1년이 넘는 기간 모래채취를 못하게 되면서 정부의 고용안정자금에 의지해 버티는 실정이다.

인천에서 바닷모래를 공급받아 오던 수도권 건설시장도 타격이 크다. 인천지역의 경우 지난 해 600만㎥, 올해 540만㎥ 등의 바닷모래 공급이 계획돼 있었지만 채취가 중단되면서 골재수급이 원활하지 못한 실정이다. 이때문에 단가 상승은 물론 품질이 크게 떨어지는 골재가 공급되면서 안전성도 우려되고 있다. 그간 대안으로 꼽혀왔던 북한산 모래 반입도 현재로서는 기대하기가 어렵게 됐다. 건설업계에서는 국토부와 해수부가 머리를 맞대고 문제를 풀어 주기를 바라고 있다.
그렇다고 무분별한 해양환경의 훼손을 방치할 수도 없는 문제다. 쇄석골재가 유일한 대안이라고는 하지만 이 역시 환경파괴와 주민민원이라는 장애를 안고 있다. 매년 반복되는 바닷모래 채취 논란에 대해 이제 정부가 근본적인 해결책을 내놓아야 할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