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 제안과 개발·공약 점검
2011년 '좋은시정위'가 핵심
갈등 치유·상생협력 일궈내
국내·외 인정 … 유엔 大賞도
시 "시민참여 확대·자치 실현"

2012년 출범한 수원시 도시정책 시민계획단은 수원시의 대표적인 거버넌스 기구다.

시민이 도시계획에 참여해 도시 미래 모습을 그리는 것이다.

시민계획단은 시민 공모, 시민 단체 추천 등으로 선정한다.

시민·시의원·시민단체 회원·학생·전문가 등 다양한 계층으로 구성돼 있다.

2013년에는 '2030년 수원 도시기본계획' 수립에 참여했고, 도시계획에 현안이 있으면 원탁토론을 열어 의견을 적극적으로 개진했다.

현재 500여명이 활동하고 있다.

국내·외에서 우수성을 인정받아 초등학교 4학년 국정교과서에 수록됐고, 2014년에는 유엔해비타트(UN-HABITAT) 대상을 받는 등 수원시를 대표하는 시민참여형 도시계획제도로 자리매김했다.

2014년 구성된 '수원시 공공기여위원회'도 도시계획과 관련된 거버넌스 기구다.

공직자와 전문가, 시민단체 회원 등으로 이뤄졌고 지구 단위 구역 내 건축물 허용용도 완화에 따른 공공기여 방안을 자문한다.

시는 민선 5기(2010년) 출범 후 '어떻게 하면 더 많은 시민이 시정에 참여할 수 있을까'를 끊임없이 고민하며 거버넌스를 꾸준히 추진해왔다.

2018년 1월 염태영 수원시장이 '시민의 정부'를 선언하면서 거버넌스는 더욱 강화됐고, 시정 곳곳에 스며들어 이제는 시가 펼치는 모든 정책의 근간이 되고 있다.

2011년 2월 구성된 민관협력기구 '좋은시정위원회'는 거버넌스의 핵심이다.

공약 이행 점검, 정책 제안·개발 등을 담당한다.

시민과 전문가가 한자리에 모여 토론하고 그 결과를 시정에 반영하는 '500인 원탁토론', 시민이 종합감사·현장감사에 참여하는 '시민 감사관' 등도 수원시만의 거버넌스 행정이다.

2017년 7월 출범해 이듬해 2월까지 활동한 '광교산 상생협의회'도 거버넌스 사례로 꼽힌다.

광교산 상생협의회는 8개월여 동안 25차례 회의를 열어 광교산 주민, 시민 의견을 수렴한 끝에 '상생 협력' 체결을 끌어냈다.

시는 합의 내용을 바탕으로 환경부에 광교상수원보호구역 일부 해제 내용이 포함된 '수도정비기본계획(변경)안'을 제출했고, 환경부는 지난해 12월 변경안을 승인했다.

2017년 도입된 소통박스와 참시민토론회는 시민 의견을 시정에 반영하는 데 큰 역할을 하고 있다.

시가 전국에서 처음으로 도입한 소통박스는 '찾아가는 시민참여 플랫폼'으로 관심이 높은 사업, 이해관계가 얽힌 사업, 생활과 밀접한 정책·사업 현장에서 운영한다.

이동식 컨테이너 형태다.

지난 3월 수원 일월공원 광장에 '소통박스 4호점' 문을 열고, '수원수목원' 조성 방향에 대한 시민 의견을 수렴하자 한 달여 만에 시민 250여명이 참여해 의견을 제시했다.

시는 의견을 사업 추진·정책 수립에 적극 반영한다.

2017년 시작된 '참시민 토론회'는 참여자들이 자유롭게 의견을 제시하면 염태영 시장, 정책책임자, 전문가들이 듣고 함께 해결 방법을 찾는다.

지금까지 8차례 토론회를 열었다.

지난 1월에는 정책 의사결정 단계부터 집행·평가에 이르는 전 과정에 시민 참여와 자치권을 보장하고 확대하는 것을 제도화한 '수원시 협치 조례'를 공포했다.

수원시 관계자는 "지난 9년 동안 수원시가 일궈낸 거버넌스의 성과는 시민 참여가 얼마나 중요한지 보여준다"면서 "수원시 행정의 기본 원칙인 시민 참여를 더욱더 확대해 '시민 민주주의'를 실현하겠다"고 말했다.

/김현우기자 kimhw@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