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안부두에 있는 인천항 제1국제터미널에 대한 처리를 놓고 지역사회가 갈등을 빚고 있다고 한다. 제1국제여객터미널은 송도에 새로 건설된 신국제여객터미널로 올해 말 이전 예정이어서 항만 기능이 상실된다. 인천항만공사는 어시장이나 오피스텔 용도로 이 터미널의 건물과 토지를 매각한다는 방침이다. 당장의 항만 수요도 따로 없는데다 신국제여객터미널 건설에 들어간 막대한 비용을 회수해야 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인천시와 옹진군은 사뭇 의견이 다르다. 우선 항구도시 인천의 기간 자산인 항만을 너무 손쉽게 없애려는 게 과연 타당하냐는 것이다. 특히 옹진군은 같은 연안부두에 있는 기존 연안여객터미널이 협소하고 노후한 만큼 제1국제여객터미널로 옮겨야 한다는 입장이다. 인천시는 인천시대로 주거여건이 열악한 이 터미널 부지가 주상복합 용도로 개발될 경우 주민 민원을 감당하기 어려울 것이라며 매각에 반대하고 있다.
사실 이 문제는 신국제여객터미널 건설이 궤도에 오른 2014년부터 공론의 테이블에 올랐다. 인천항만공사는 주변 주민들이 터미널 이전에 반대하고 나서자 민·관·공 TF를 통해 활용방안을 모색해 왔다. 인천시 등은 어시장이나 오피스텔 건립이라는 개발 복안도 제약조건이 많다고 보고 있다. 항만업계나 관계 전문가들은 새로운 항만 수요도 없지 않다고 보고 있다. 세월호 사태로 폐지된 인천~제주 항로도 곧 복원된다. 또 한반도 긴장 완화 추이에 따라서는남북한 항로의 활성화도 기대할 수 있다. 이들은 정부가 이번 기회에 이 터미널을 제주·남북항로에 특화시킬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다.

신국제여객터미널 건설에 과도한 비용을 부담한 인천항만공사의 입장도 이해는 간다. 그러나 항만시설은 국가적으로도 중요한 사회간접자본이다. 과거 한국이 어려운 시절에도 항만, 철도, 도로 등 SOC 확충에 진력해 온 것을 생각해도 쉽게 허물고 아파트를 지을 일은 아니다. 이는 항구도시 인천의 미래와도 맞물려 있는 문제다. 특히 항만, 공항 등의 국가기간시설은 멀리 내다봐야 한다. 이번 제1국제터미널의 처분에 있어 정부는 해당 지방정부에 이관하거나 매각해 지역실정에 맞는 활용방안을 모색할 수도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