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의 과학기술문화 인프라가 전국 17개 시·도 중 매우 낮은 15위 수준이다. 과학기술의 대중화 역량이 도시발전의 힘으로 작용하는 현실에서 도시 경쟁력을 잃을까 우려된다. 시민들이 실생활과 연결되는 과학기술을 이해하고 참여할 수 있는 여건이 부족하게 되면 삶의 질 개선에도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
과학기술문화 창달은 시대적 요청이다. 하지만 평소 과학과 삶이 동떨어져 있는 무감각한 분위기였다. 과학기술이 경제성장뿐만 아니라 고용, 임금, 국방 등 광범위하게 작용하고 있는데도 과학기술은 한정된 분야로 이해되곤 했다. 실제 과학기술의 생활 속 활용은 광범위하다. 생활 자체가 과학기술이라 할 정도로 건강, 주거, 환경, 여가, 안전 등 과학기술이 접목된 복지 분야도 확대되고 있다.

인천은 과학관, 생활과학교실, 무한상상실이 인구 1000명당 3.26개(전국평균 5.14개)에 불과해 규모와 실적에서 열악한 상태다. 연구 인프라도 부족한 수준이다. 대학을 비롯한 연구기관·연구소가 유치한 혁신기관은 17개에 불과하다. 전북 50개, 경기 44개, 서울 42개, 대전 36개에 비교하면 턱없이 부족하다. 그런가하면 인천시 분야별 예산 중 과학기술 관련 예산은 281억원으로 전체의 0.3%에 머물렀다.
과학기술문화 확산의 핵심은 시민이다. 따라서 과학기술 환경과 시민과의 괴리를 좁혀야 하겠다. 예를 들어 인천 무한상상실의 하루 이용객은 10명 안팎으로 유명무실하다. 과학기술 인프라를 활용할 수 있는 캠페인부터 시작해야 할 듯싶다. 인천은 연구 인프라가 미흡하다보니 연구 인력도 모자란 형편이다. 이대로는 과학도시 인천 육성은 불가능하다.

과학기술 진흥은 인천 경제발전에도 직결되는 문제다. 첨단기업과 다국적 기업 연구개발센터 등을 유치한다거나 대학의 과학기술 인력 양성에도 힘써야 할 것이다. 인천시민이 과학기술을 공공재 문화로 향유할 수 있는 예산 확보도 관건이다. 과학기술문화 거버넌스 구축을 통해 시민의 참여와 관심부터 높여 나갔으면 한다. 인천경제산업정보테크노파크가 수립한 인천시 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2019~2023)에 거는 기대가 큰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