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현장의 안전불감증은 어제 오늘의 얘기가 아니다. 지난 15일 늦은 오후나 16일 새벽쯤 시흥시 대야동 소재 한 아파트 신축 공사현장에서 근로자 김모(54)씨 등 2명이 숨진 채 발견됐다. 신축중인 41층의 밀폐된 공간에서 방독면을 착용한 채 콘크리트 양생 작업 중 피운 난로에 숯탄을 보충하기 위해 들어갔다 일산화탄소에 중독돼 변을 당한 것으로 추정된다. 매뉴얼이 있어도 지키지 않는 무책임한 안전불감증이 인명과 재산 피해를 키웠다는 점에서 안타깝다.
당국은 이제와서 공사 중지명령을 내리고 관련 법 위반 여부를 조사한다며 법석을 떠는 모양이다. 사전 대비없는 현장의 목소리는 '사후약방문'에 그칠 수밖에 없다. '현장의 안전준수'는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건설현장 안전불감증이 사고의 연발인 현실 속에서도 소잃고 외양간 고치는 식의 단발성 대책을 고집한다면 안전사고의 후진성은 면치 못할 것이다. 최근 의정부에서 발생한 아파트화재는 70여명의 사상자와 90억원의 재산피해를 냈고, 순간의 실수가 더 컸다. 전국에서 한해 발생하는 화재건수는 4만2000건이 넘고 2000여명의 인명피해를 가져왔다. 원인은 모두 안전불감증이었다고 하니 어처구니가 없다.
대규모 공사시 작업 전 근로자들은 반드시 준수해야 할 화재예방과 피난 등 비상조치 교육이 필수다. 교육은 물론 사람잡는 맹독성 내장재 사용은 왜 시정되지 않는가. 이제 관리감독 책임을 철저히 물어 후진국형 인재사고를 끝내야 한다.

당국이 교육과 예방이 필수라고 강조했지만 여전히 달라진 게 없다. 지난 10일 4명이 숨지는 등 6명의 사상자를 낸 김포시 장기동 주상복합건물 지하에서 일어난 화재 역시 철저한 안전불감증에서 비롯된 인재다. 용접시 지켜야 할 안전수칙을 안 지키고 화재감시자 부재 등 기본적인 매뉴얼을 제대로 지키지 않았기 때문이다. 제때 인부들을 대피시키지 못했고 소화장비도 제대로 없었다니 초기 진압이 됐을 리가 없다. 화재사고를 낸 시방사와 감리감독자들의 책임을 철저히 물어 인재사고를 없애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