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양주시에 국내 유일의 몽골문화촌이 있다. 1998년 남양주시와 몽골 울란바토르시가 우호협력 관계를 맺으면서 탄생한 문화촌은 그간 한· 몽골의 우호교류를 상징처럼 돼 왔다.
남양주시는 2000년 4월 수동면 6만2497㎡ 부지에 몽골문화촌을 만들었다. 2007년엔 몽골 대통령 영부인이 방문해 기념식수를 하기도 했다. 국내에서는 오로지 이 한 곳에서만 몽골의 민속문화를 체험·관람할 수 있다. 18년 동안 그랬다. 매년 몽골에서 선발한 단원 30여명이 전통 악기 연주와 함께 허미(몽골 민족의 독특한 발성법), 기예, 전통 의상쇼, 마상 공연(고공 서커스·활쏘기 등)을 펼쳐왔다. 특히 몽골 전통가옥 '게르' 체험은 방문객 사이에서 큰 인기를 끌었다 한다. 하지만 아쉽게도 앞으로는 이곳에서도 몽골의 문화공연을 볼 수 없게 됐다. 남양주시가 최근 몽골문화촌 공연을 폐지하기로 결정했기 때문이다. 수익성이 떨어진다는이유에서다. 시에 따르면 최근 2~3년 간 매년 8~9억 원씩의 적자가 발생했다. 따라서 앞으로는 전시·체험시설만 종전대로 운영할 계획이라고 한다.

당장 조바심이 난 쪽은 몽골 한인회다. 한인회는 몽골 정부와 외교 마찰을 우려하며 반대서명에 나섰다. 수익의 관점에서만 접근해선 안 된다며 민간위탁 등 가능한 방법을 찾아보자는 게 이들의 주장이다. 안타까운 일이다. 몽골 한인회의 주장처럼 몽골문화촌은 국가 사이의 문화 교류 사업이다. 따지고 보면 연간 8~9억원의 적자가 그리 큰 것만도 아니다. 문화적 다양성을 살리고 오랜 역사적 배경을 가진 몽골과의 관계를 생각하면 실익이 훨씬 더 클 수도 있다는 게 우리 생각이다. 다만, 손실이 계속되는 상황에서 남양주시에만 그 손실을 감당하도록 윽박지르듯 하는 태도는 바람직하지 않다. 그런 점에서 민간위탁 등 다른 방식을 찾아보자는 한인회의 주장은 귀담아 들을 만 하다. 그러나 이 주장 역시 수익이 발생하지 않는 사업에 민간이나 기업이 선뜻 나설 것인지는 또 의문이다. 정부의 역할이 필요해 보인다. 국가 간의 일을 나 몰라라 하는 정부의 태도는 잘못이다. 남양주시가 됐든, 아니면 다른 민간단체가 됐든 정부의 지원이 없이는 문화촌 운영이 불가능해 보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