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물기술인증원' 설립 지역 발표를 앞두고 유력 광역시·도 경쟁이 치열하다. 한국물기술인증원은 '물관리기술 또는 물관리 제품의 위생안전, 품질 및 성능 등을 확보하기 위한 인증·검증' 기관으로 설립된다. 인천은 물산업 클러스터 운영기관으로 지정된 한국환경공단과 환경기업을 지원하는 환경산업연구단지 등이 있어 물기술인증원 유치에 성장 동력을 갖춘 셈이다.
수도권에 몰려 있는 물산업 기업체의 연구개발과 인력양성을 선도하고, 물기술인증원 역할을 증진할 수 있는 최적지가 바로 인천이다.

초대형 정수기 렌탈 기업들이 서울에 본사를 두고 있는가 하면, 5년전 수(水)처리 분야의 세계적 기업인 프랑스 '베올리아 워터' 아·태교육훈련센터가 송도 경제자유구역에 둥지를 틀었다. 인천이 물산업 허브로서 물기술인증 통합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여건은 충분하다.

시정부와 정치권이 좀 더 물기술인증원 유치에 적극 나서줬으면 한다. 수도권은 정부 행정기관, 투자·출자·출연기관 등 공공기관, 기업, 대학, 벤처·제조업체 등 국가경쟁력이 집중돼 있다. 그에 비해 인천에는 우수한 자원이 있는데도 고작 공공기관 3개 정도와 몇 안 되는 대학 등을 갖춘 정부 기관의 불모지다.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고 도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국가기관 유치는 뒤로 미룰 수 없는 일이다.
이번 국감에 환경노동위 소속 인천 국회의원은 한 명도 배정되지 않았다. 반면 대구는 상임위 활동에서 물기술인증원 유치를 강력하게 주장한 바 있다. 물산업클러스터를 구축한 대구가 인증원 유치의 최적 환경이라는 주장은 집요하다. 하지만 물산업클러스터의 각종 물산업 시설 실험과 물기술 인증 영역은 엄연히 다른 성격을 가진 분야다. 그동안 인천은 열악한 물 환경을 극복하기 위해 해수담수화 등 환경 NGO와 지방정부가 다양한 물 관련 정책을 펼쳐 왔다.

2009년 3월 터키에서 열린 세계물포럼에서는 아시아에서 처음으로 인천이 12개 물 시범도시 중 하나로 선정됐다. 인천이 국내 물기술 인증 발전에 지속적인 성과를 달성할 수 있도록 정부의 각별한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