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정부의 도시재생 뉴딜사업 공모에서 인천은 지난해에 이어 신규 5곳이 선정돼 원도심 균형발전 방안을 수립한다. 인천시는 다음 달 국토교통부가 도시재생 활성화 지역을 최종 승인·고시하기 전의 절차로서 선도지역 지정 요청을 위한 주민 공청회를 가졌다고 밝혔다.

도시재생 뉴딜사업은 문재인 정부의 비중 있는 국책사업이다. 전국 500곳에 5년간 50조원이 투입된다. 그러나 지자체의 막대한 매칭펀드가 필요한 사업으로서 우선 예산 낭비를 줄일 수 있는 전문 행정력이 뒷받침돼야 한다. 앞으로도 인천시는 5년간 도시재생 사업지역을 20여 곳으로 늘려 뉴딜사업을 추진하겠다는 계획인 만큼 효율적인 시비 집행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

민선7기 시정부도 원도심 균형발전 정책은 중점을 두는 시책이다. 이에 따라 기존 정무경제부시장을 균형발전정무부시장으로 변경하고, 원도심재생조정관(2급) 직제를 신설했다. 하지만 이러한 직제 개편을 두고 실제적인 성과 달성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와 논란의 소지를 남겼다. 올 도시재생 지역은 중구 공감마을, 서구 석남동, 계양구 효성마을, 강화군 남산마을, 옹진군 심청이마을 등 5곳이다. 모두 나름대로의 역사와 전통을 간직한 마을들이다.

도시재생 뉴딜은 마을의 사회·문화환경 기틀을 유지한 가운데 도심 환경을 개선하는 작업이다. 국제도시의 성장에 비교하면 도시재생 지역의 생활환경 인프라는 턱없이 열악하다. 노후주택과 빈집이 증가하고 있으며, 고령인구가 밀집된 지역의 생활환경을 개선하는 일도 시급하다. 도시의 물리·환경적 재생과 아울러 원도심의 상권회복, 공공기관 서비스 확충, 지역공동체 조성 등 지역주민의 역량을 발굴하고 결집해야 한다.

원도심의 문화콘텐츠를 개발하고 역사문화유산을 활용해 '찾아오는 도시'의 기반을 만들어야 할 것이다. 인천 원도심은 중구 개항장 일대와 같은 관광 수요 창출 지역 등이 많지만 역사를 연구하고 집적하는 전문가를 채용하고 활용하는 조직체계는 미흡하다. 신도시와 같은 외형적 성장이 도시발전을 주도하고 있으나 오랜 역사를 간직한 원도심의 역사문화 자원도 도시의 가치를 높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