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 집값 상승 영향이 경기도로 확대되면서 분당·평촌·과천·남양주 등지의 부동산 과열 현상을 부추긴다. 이제라도 주택가격 급등 원인에 대한 정확한 진단과 해법을 내놓아야 하는 상황이다. 경기도는 수도권 부동산 정책이 정부와 국토교통부 책임이라고만 방관해선 곤란하다.
정부는 지난해부터 '8·2대책' 등 투기억제 정책을 펴고 있지만, 주택시장 안정에는 실패했다는 지적을 받는다. 결국 분당과 평촌 등지에선 지금 투기과열 현상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정부가 8·2대책 때 강남권 등 서울 25개 구 중 11개 구를 최고 단계인 '투기지역'으로 지정하자, 요즘 나머지 강북지역에서 부동산 가격이 급등세를 보였다. 서울시가 용산개발을 발표한 이후 폭등해 8월 말엔 분당·평촌 등 신도시(0.28%)와 경기·인천(0.14%) 아파트 값이 큰 폭으로 상승했다. KB국민은행 부동산시세에 따르면 분당신도시 아파트 가격은 1년 새(2017년 2분기~올해 2분기) 23% 올랐다. 평촌신도시에도 16% 상승했다. 3분기 들어선 더욱 가파른 상승세를 기록하고 있다.

분당 원룸 거주자 B씨는 "작은 아파트라도 살 수 있어야 결혼도 하고 아이도 낳을 텐데, 1년 만에 2억~3억 오른 아파트를 어떻게 구입하느냐"며 치를 떤다. 경기도민들은 국토부와 청와대 등의 게시판에 집값 안정화를 촉구하는 글을 잇달아 올리고 있다. 하지만 경기도는 거의 손을 놓은 채 부동산 과열을 방관하고 있는 듯하다.

정부와 국토부가 못 잡는 부동산 투기를 도에서도 어쩌지 못한다는 반응이다. 이대로 포기해야 하는가. 그럴 수는 없다. 실수요자들의 민원을 반드시 해결해야 할 책임을 지고 있지 않은가.

국토부와 경기도는 주택가격 급등 원인에 대해 다시 면밀하게 진단을 벌여야 한다. 그래야 정확한 대책도 나올 수 있다. 정부의 정책 진단과 별개로 국토부와 경기도는 부동산 중개업소를 대상으로 '다운계약' 등 불법행위 조사에도 나서야 할 터이다. 최근 부동산 허위매물, 다운계약서 작성 등 불법 부동산 거래가 크게 늘고 있기 때문이다. 실수요자들이 겪는 피해를 더 이상 보고만 있을 수는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