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개항 창조도시재생과 인천역 복합역사 개발 사업이 도마 위에 올랐다. '입지규제최소구역 제도'가 실제론 '대기업 배불리기'로 변질됐다는 지적을 받는다. 도심 내 쇠퇴한 주거지역, 역세권 등을 주거·상업·문화기능이 복합된 거점으로 개발해 지역경제 활성화를 촉진하기 위한 제도가 결국 민간자본만 살찌우는 게 아니냐는 우려다. 구역으로 지정되면 건폐율·용적률·높이, 건축기준 등을 유연하게 적용해 사업시행자가 맞춤형 개발을 할 수 있다. 하지만 되레 도시계획상 모든 제한과 규제를 풀어줘 기업에만 유리한 계획이라는 게 시민단체의 주장이다.

'인천내항과 바다 되찾기 시민모임'은 우선 두 가지 사업을 지적한다. 인천항 8부두 옛 곡물창고를 리모델링해 첨단 문화 엔터테인먼트 시설로 조성하는 '상상플랫폼 사업'과 인천역 일대를 인천 최초로 입지규제최소구역으로 지정한 '인천역 복합역사 개발사업'이다. 인천시가 대기업인 'CJ CGV'에 인천개항 창조도시재생 사업인 상상플랫폼 운영을 맡겼는데, CGV에 사업 진행 편의 목적으로 이미 입찰 공고문을 통해 입지규제최소구역을 지정해주겠다는 약속을 했다고 한다. 시민단체는 대기업의 이익만 고려하는 개발을 당장 중단하고, 사업 재검토는 물론 민관협의체 구성을 요구하고 있다. 인천역 복합역사 개발사업도 문제점으로 꼽힌다. 이 사업을 추진하면 개항장 당시 중국인 거리 앞 최초의 경인철도 시발지는 거대한 빌딩으로 변모해 그 역사적 자취를 찾아볼 수 없다는 얘기다. 인천역 복합역사는 지하 4층·지상 25층 규모로 지어지는데, '끔찍한 도시파괴'가 분명하다는 것이다.

도시재생의 경우 시민들과 함께 고민을 하면서 그들의 요구를 반영해야 한다. 시민들이 오랫동안 갖가지 주거지역의 불이익을 감수하면서 지내온 '도시계획'이었기 때문이다. 각종 불편과 고통이 따르는데도 시민들이 묵묵히 참고 기다려온 점을 무시해선 절대 안 된다. 얼토당토 않는 개발로 주민들이 피해를 보는 사업이 얼마나 많은가. 도시재생 사업은 시민들이 원하는 원도심 활성화 취지를 살리지 못하면 실패할 수밖에 없다. 시는 이를 명심하고 사업의 잘잘못을 가려내 바로 세우려는 노력을 기울여야 할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