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이 펄펄 끓고 있다. 기상청은 사상 최악의 폭염을 보인 7월말보다 8월초 폭염 강도가 더 기승을 부릴 것으로 예고했다. 열대야에 잠을 설쳐 심신이 지쳤다. 더욱이 냉방 환경을 갖추지 못한 쪽방촌 주민들의 고통은 이루 말할 수 없다. 경제적 사정으로 선풍기가 없는가 하면 에어컨이 있다 하더라도 전기세 부담을 걱정해 가동을 억제하는 폭염의 사각지대다. 하루하루 생계가 걱정인 이들에게 정부와 지자체는 폭염 특단을 당장 내놓고 지원해야 한다. 한국전력공사는 2016년 전기요금 누진제 인하에 따라 그 전보다 국민 부담이 대폭 줄었다고 자화자찬에 나섰다. 일부 계층에게는 전기요금 누진제 자체가 폭염에 가중된 이중 고충이다. 이를 외면하는 한전 입장이야말로 공기업으로서 취할 태도는 아니다.

'하루 4시간 에어컨을 사용하면 요금폭탄이 없다'는 한전의 주장은 아전인수다. 서민 중에는 경제적으로 한 푼 여유 없는 취약계층이 많다. 이 더위에 '서민들은 에어컨 사용을 자제해야 한다'는 의미로 받아들여진다면 우리 사회 양극화의 현상은 진정되기보다 촉발될 수밖에 없다. 일단 전기요금에 대한 심리적 부담을 없애야 폭염의 2차 피해를 예방할 수 있다.

폭염도 자연재난의 범주로 검토되고 있는 만큼 강력하고 효율적인 무더위 쉼터 운영 등 폭염 재해구호시설의 확충이 시급하다. 사회안전망을 구축할 '재난및안전관리기본법'의 손질도 필요하다. 간혹 선심성 정책이라는 비판에도 아랑곳하지 않는 정부가 굳이 폭염 대책에 주저하는 이유를 모르겠다. 2년 전 전기요금누진제 논란에 따라 당시 대통령 지지율마저 하락했다. 그만큼 심각한 대국민 정책이기 때문이다.
폭염 대응을 위해 특별교부세도 풀어야 한다. 폭염이 지속되는 한 전기사용 증가는 불가항력이다. 7~8월만이라도 누진제를 없애는 것이 폭염에 대처하는 실제적 방안이다. 앞으로 한반도의 기온 상승이 상대적으로 빨라 폭염에 노출되는 취약계층은 더 증가할 전망이다. 정화조도 없이 생활하는 구도심 쪽방촌은 폭염 민생의 현장이다. 지방선거 운동을 할 때처럼 지도자들이 폭염에 노출된 쪽방촌을 찾아나서 봐야 하지 않겠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