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관 친목단체로 지목되는 '인화회'(仁和會)는 해체돼야 한다. 지방정부와 지역 공기관의 수장들이 대부분 조별 대표로 구성된 기업친화적 구조는 구시대 발상이다. 관존민비라는 권위주의 행정문화로 비치고, 인화회 회원들만의 공동체를 중시하는 '선민의식'은 표면적으로도 정경유착과 토착비리로서 위험해 보인다. 기업 회원과 비회원 간 갈등은 이미 지역 통합을 저해하고 있다. 인천 정체성을 혼미하게 만드는 요인이다. 그동안 인화회는 간간이 지역봉사 또는 기부활동에 나섰지만 정작 인천 발전을 위한 기업현장의 싱크탱크 역할은 부족했다. 인천을 대표하는 기업들을 선별한 조직이라면 자영업, 소규모 기업 등의 애로와 민생 논의에도 체계적인 활동이 필요했다. 최근 주 52시간 근무제, 최저임금 인상, 청년일자리 등과 같은 지역 경제발전을 위한 과제를 도출하거나 방향을 제의한 적도 없다.

인화회 회원인 지역인사는 "회원이 되기 위해 해당 조의 인맥을 동원하는 일부 신규가입 기업 행태는 결국 기업의 맹점을 편법으로 해결하려는 의도"라고 꼬집었다. 악화가 양화를 구축한 셈이다. 이제 인화회의 구성 주체라 할 수 있는 공공기관과 기업은 공공적 거리를 유지하는 것이 맞다. 공공기관과 친목을 모색하는 기업의 밀착구조는 학연·지연과 유사한 또 다른 친소관계를 조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공공의 이익이 앞서는 인천을 만들기 위해서라도 인화회 민관 구조를 불식해야 한다. 새로운 시정부에 거는 기대는 사회전반의 양극화·불평등·부조리 등의 개선이다. 공적 서비스가 일부 조직에 편중되거나 사회결속을 한 치라도 저해하는 요소에 자성이 없다면 결국 그 결과는 지방정부에 대한 불신과 지방자치 위기로 귀결된다.

인화회를 민관 파트너십으로 보는 사람은 거의 드물다. 그만큼 구조 형성이 공평하거나 균형을 이룬 조직이라고 내세우기 어렵다. 인화회는 시정부가 관리 운영의 중심에 있는 만큼 단순한 민간 조직이라고 단정하기에도 무리다. 인천의 자본을 구성하는 원동력은 시민사회의 신뢰와 지방정부에 대한 지지다. "허례허식과 의전 형식을 타파하겠다"는 박남춘 시장의 조속한 결단을 촉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