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7일 인천일보 회의실에서 열린 '시민편집위원회'에 참석한 편집위원들과 편집국 데스크들이 지면 회의를 하고 있다.

인천일보 2017 제5차 시민편집위원회가 지난 27일 오후 2시 인천일보 5층 회의실에서 열렸다. 이날 회의에서 시민편집위원들은 "인천일보 모기업 관련 기사가 너무 자주 신문지면에 등장하는 것은 바람직해 보이지 않는다" "국회 관련 특집기사가 돋보였다"는 등의 의견이 나왔다. 하석용 위원장을 비롯해 김학균, 강덕우, 강도윤, 최정철, 최문영, 김송원 위원이 참석해 의견을 내놓았다. 또 본보 이문일 논설주간, 정기환 논설위원, 조태현 정치부국장, 김진국 문화부국장, 이은경 사회부장, 김정원 편집부장, 김도현 온라인뉴스팀장 등이 참석했다. 회의내용을 요약 정리한다.

▲하석용 위원장 "언론, 공직자들 움직이는 역할을"
기사 쓸 때 필수적으로 조사해야 하는 것은 연속된 사항에 대해선 역사를 짚어주고, 관련 법률은 샅샅히 뒤져봐야 하다는 점이다. 인천일보는 이 두 가지가 취약하다. 심도 있게 기사 쓰려면 발로 쓰고 머리로 써야 하며 이런 기사를 위해선 교육도 필요하다. 지적을 넘어 현상으로, 지면으로 나타나길 바란다. 부영 관련 사설과 기명칼럼으로 두 차례나 나가면서 물의를 빚었다. 그러한 기사들이 부영에 도움이 될까 걱정이다. 악재 중의 악재이다.

예산을 편성하면서 인천 지역국회의원이 소극적이라는 지적이 많은데 의원들을 일일이 인터뷰 하면서 입장을 물어보는 것도 좋을 것 같다. 언론이 공직자들을 움직이게 하는 역할을 해야 한다. 인천시장과 국회의원 간 스킨십도 여전히 적어보인다.

▲김학균 위원 "발로 뛰는 참신한 글·사진 다뤄야"
8월24~26일, 몇 개의 신문을 보니 25일 인천일보 1면 톱기사가 전날 다른 지역일간지 오피니언 면에 실린 기사였다. 다음날 한 전국지에서 비슷한 내용을 다뤘는데 다른 아이템이었다. 인천일보는 다른 신문에 비해 한발 늦게 썼으며 새로운 내용도 아니었다. 발로 뛰는 기사를 써줘야 한다. 같은 기사를 쓰면서도 다른 전국지는 관련 사진을 구하는데 인천일보는 왜 못 구하는지 모르겠다. 9월18일자 신문에서 인천연극협회 배다리소극장 기사를 쓰면서 인터뷰 대상자를 잘못 선정했다. 역시 진지한 고민이 필요한 대목이다. 부영 관련 사설을 비롯해 사설을 쓸 때는 보다 신중하게 써야 하며 교열과 교정을 넘어 문장을 함부로 고치는 것은 삼가야 한다.

▲최정철 위원 "SLC 문제 역사 제대로 잡아주길"
매번 고심하면서 참석하는 회의인데 돌아오는 메아리가 없다. 이 회의에서 얘기한 내용이 피드백이 되는지조차 알 수 없어 시민편집위 존재가치를 잘 모르겠다. 그 연장선에서 또 메아리 없을거라 느끼지만, SLC문제를 얘기해 보겠다. 인천일보가 주도적으로 지난 한 두 달 실었는데, 내가 기대한 건 오해를 사지 않게끔 히스토리를 갖고 얘기해 주셨으면 하는 점이다. 인천 지역사회가 150층 짓는 것을 원하는지. 어느 시장을 떠나 지역에서 함의가 있던 부분을 짚어줘야 했다. 150층 건물과 관련해 히스토리 있는 것 잘 알텐데, 그 거쳐온 과정은 간과하고 부적절한 지적을 이렇게 쓸 수 있는 건가 유감스럽다. 구체적으로 말하지 않는 게 옳은 것 같아서 세세하겐 말 안하지만. 계약 자체가 부적절했다. SLC문제 다루면서 역사 제대로 잡아주길 바란다.

▲강덕우 위원 "회의 방향 바꾸고 자체비평 전달을"
시민편집위 회의 방향이 수정이 돼야 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사실 일일이 어느 기사가 어떤지 말하기 어려운데 가끔 인천일보 등 몇몇 신문 자세히 보는데, 어떤 신문은 1면에 맞춤법 안 맞는 것도 눈에 띈다. 부영 관련한 보도의 경우, 인천일보 사주로 오다시피 했으니 영향을 받았는지는 모르겠다. 하지만 이번에 논란이 된 사설처럼 두둔했다간 역풍을 맞을 수도 있다. 또 기사를 작성할 때 너무 뭐가 잘못됐다 이런 내용보단 실수를 범했다든지 자체발전을 위해 노력하는 걸 보여주길 바란다. 자체적으로 기사에 대한 비평을 해서 시민편집위 회의 때 위원들에게 전해주면 여러모로 좋을 것 같다.

▲강도윤 위원 "개발은 뜨거운 감자 … 자존심 지켜야"
인천일보는 자존심이 있는 신문이다. 인천사람들 의견 최대한 반영하는 게 언론의 역할이고, 그런 의미에서 인천일보가 인천지역에서 갖는 의미가 크다고 본다. 인천일보가 자존심 잘 지켜주고 있지만 부영은 뜨거운 감자이다. 이미지가 그닥 좋지 않은데, 인천에 와서 큰 개발사업 일으키면서 이런저런 문제가 생기니 어려울 것 같다고 생각한다. 이미지 쇄신을 해야 한다는 당위성, 좋은 기업이 큰 후원 해준다고 하면 바람직한 부분이니 오히려 부영을 변화시키는 건 어떨까 생각한다. 신문사 입장 등 각 젊은 기자들의 독자적인 생각이 지면을 통해 나왔을 때의 충돌 가능성이나 미래비전, 캠페인 등을 장기적으로 했으면 좋겠다. 편집위원 각자도 다양한 활동하는데, 활동하는 분들은 신문에 강하게 어필하면 위상도 같이 올라가지 않을까 생각한다.

▲최문영 위원 "묵혀있는 지역현안 해결안 제시를"
인천일보를 1면 위주로 보니 국회에서 잠자고 있는 인천 현안 시리즈가 눈에 띄고 시의적절하더라. 정보성과 지방분권 앞두고 지역사회에서 묵혀있는 현안을 한번은 문제제기 해야 했는데 잘 하고 있다는 생각이다. 경인고속도로 일반화 등을 비롯해 인천의 많은 현안이 국회 상임위까지도 다뤄지지 않을 정도로 홀대받고 있다는 느낌 많이 받았다. 또 해결방안에 대한 대안제시 미흡 등이 좀 아쉽다. 추석 앞두고 얘깃거리 나올 시기니 지역 현안들 회자될 수 있도록 더욱더 깊이 있게 다뤄주길 바란다. 추석연휴 인천공항 195만명 기사, 국가안보 신경쓸 것 없이 해외로 가는 것은 들떠있는 분위기 뒤에 한편에선 끔찍한 학교 비정규직 기사 나왔다. 균형감 있는 보도 좋았다.

▲김송원 위원 "국감 앞둬 … 현안 정리 일반화 제안"
국회의원들이 법안 처리 안하고 있는 것을 짚은 건 의미가 있다고 본다. 전에 인천일보-경실련 지방선거 등 공동대응 때 최소한 지방선거 때는 시장공약 점검 등 일상적으로 되는데, 국회의원은 점검 제대로 안되고 있단 평가가 있었다. 법안만이라도 접근해야 된다는 얘기가 있었는데, 현안과 연결된 법안을 바로 잡으니 와닿은 게 컸고 재밌었다. 이제는 '어떻게 해야 할까?'를 고민해야 한다. 지적하기 전에 아이디어 모아야 한다. 정치적 행위 외에도 일반적으로 이분들 압박과 지지·격려 통해 성과 끌어내는 방법론 고민해야 한다. 그나마 정치적 중립에 서 있는 시민단체와 언론이 말이다. 10월 국감, 이것도 굵직한 현안으로 진행될 듯 하다. 이런 진단에 대해서 시장선거 전초전이다라는 말도 있는데. 국감위원들이 제대로 할 수 있도록 현안 일목요연하게 정리하는 것도 지역언론의 역할이다. 자칫하면 그 현안이 교두보가 아닌 정쟁으로 이용될 우려가 없는 것은 아니다. 총선때 정책 대응했듯이 후속방편으로 국감 앞두고 인천일보는 대대적으로 서비스차원으로 현안 정리하는 것 일반화하는 것을 제안한다.


/송유진 기자 uzin@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