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기경보시스템 도입·내진 성능 보강·지질조사 등 대부분 초기 단계
1년 전 '9·12 경주 지진'이 전국에 지진 위험성을 일깨웠지만 인천시 방재 대책은 아직 갈 길이 멀다.
올 들어 인천 앞바다에서 지진이 4차례나 발생하는 동안 조기경보 시스템이나 지질조사는 검토 단계에 머무르고 있다.

경주 지진을 계기로 지난해 10월 인천시가 발표한 '지진 방재 대책'을 분석한 결과 대다수가 이행 초기 단계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당시 시가 발표한 대책은 조기경보 시스템과 내진 성능 보강, 지질조사, 전 가정 방재 책자 배부 등으로 나뉜다.

11일 시 관계자는 "지진 조기경보는 기상청 차원의 시스템 구축 여부를 지켜보고 있다"며 "매립 연약지반 지질조사도 필요성을 공감하지만 아직 검토 단계"라고 말했다.

지진 정보를 신속히 전파하는 조기경보 시스템은 도입 시기가 불투명하다. 시는 기상청과 연계하는 방식이라서 늦어진다고 설명하지만, 경기도는 이미 자체적으로 시범 운영하고 있다.

송도·청라·영종 등 매립 지역에 대해 지질조사한다던 계획도 장기 과제로 미뤘다.

공공시설물 내진 성능은 전체 970곳 가운데 500곳(51.5%)이 확보된 상태다. 지난해 발표 당시 481곳보다는 소폭 증가했다. 하지만 정부가 올해 말까지 내진 설계 기준을 '2층 또는 500㎡ 이상'에서 '연면적 200㎡ 이상'으로 강화하기로 하면서 대상 시설은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모든 가구에 배부되도록 종합 방재 책자 100만 부를 제작한다는 계획은 10만 부를 학교 위주로 나눠주는 선에 그쳤다.

지진 대책이 더딘 속도를 보이는 동안 올해 인천에선 지진이 4차례나 일어났다. 지난 2월23일 백령도 해역에서 규모 3.1 지진을 시작으로 3월28일 연평도 해역, 7월18일 강화도 해역에서 각각 규모 2.2, 2.7의 지진이 발생했다. 불과 며칠 전인 지난 7일 연평도 서남서쪽 33㎞ 해역에서도 규모 2.9 지진이 있었다.

기상청 자료를 보면 2000년 이후 규모로 열 손가락에 꼽힌 지진 가운데 두 차례는 인천에서 일어났다. 2003년 3월30일 백령도 서남서쪽 88㎞ 해역의 규모 5.0, 2013년 5월18일 백령도 남쪽 31㎞ 해역의 규모 4.9 지진이다.

/이순민 기자 smlee@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