前 SBS골프채널·MBC-ESPN 골프해설위원
▲우드 속에 숨어있는 과학
아이언 클럽과는 달리 드라이버나 페어웨이 우드를 자세히 보면 헤드의 면이 마치 배의 선측을 보듯이 굽어있다. 헤드의 수평 방향으로 굽어있는 굴곡을 벌지(Bulge), 수직방향으로 굽어 있는 것을 페이스 롤(Face Roll)이라 부른다. 이러한 디자인에는 엄청난 비밀이 숨어있다. 골퍼가 미처 인식하지 못하는 순간에 그 과학의 기능이 작동하여 미스 샷을 막아 주는 역할을 한다. 우연히 드라이버나 우드 샷을 하다가 클럽의 중심을 맞추지 못치고 헤드의 앞쪽(토우)나 뒤쪽(힐)에 맞는 샷을 경험했을 것이다. 이럴 경우 클럽의 중심을 맞추는 것에 비해 타구감이 떨어지고 거리도 평소보다 훨씬 못 미치는 것은 당연하다.
  
그런데 토우 쪽에 맞은 공은 우측으로 가는 듯하다가 목표 방향인 왼쪽으로, 반대로 힐 쪽에 맞은 공은 왼쪽으로 향하는 듯하다가 목표 쪽 우측으로 선회 비행을 한다. 결국 거리 손실은 있지만 목표지점으로 휘어져 들어오는 샷의 교정이 일어나게 된다. 이것이 바로 벌지 기능이다. 이는 클럽헤드의 소위 기어효과(Gear Effect)라는 물리학적 요소가 작용을 하도록 디자인되어 그렇다. 그림의 설명처럼 클럽헤드속에 마치 기어가 들어있다고 이해하면 된다.

페이스 롤(Face Roll)은 클럽헤드의 로프트를 결정하는 과정에서 지점마다의 차이가 있다. 이의 차이가 볼의 탄도를 결정해 주는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우리가 알고 있는 클럽의 로프트 각도 표기는 클럽의 무게중심점의 각도를 의미하며 위로 올라 갈수록 각도는 커지고 내려가면 작아진다. 미스 샷이 생겼을 때 볼이 형편없이 뜨거나 낮게 비행하는 경우는 이로 인하여 생기는 것이다. 반대로 코스공략의 특별한 경우나 맞바람이나 뒷바람의 경우에 의도적으로 높거나 낮은 탄도를 구사할 필요가 있는 경우 티의 높이를 정상보다 높이거나 낮게 하여 볼의 탄도를 결정할 수 있다고 가르친다. 이 역시 페이스롤의 기능을 활용하는 기발한 착상이 된다.

벌지의 기능에도 불구하고 클럽이 열리거나 닫히면 볼은 똑바로 갈 수 없다. 무게중심점을 벗어나 위, 아래 지점을 맞게 되면 반드시 볼은 뜨거나 낮게 비행할 수밖에 없다. 골프에서도 '콩 심은데 콩나고 팥 심은데 팥난다'란 속담이 틀림없이 맞아 떨어진다.

▲주조(Forged)와 단조(Cast) 클럽의 오해
주조품과 단조품의 차이는 그 재질에 있으며 일반적으로 단조아이언에는 주로 스테인레스강이 쓰인다. 부식을 방지하는 성분으로 알려진 크로미엄 성분을 10%이상 혹은 다량 함유한 재료로 만들며 가장 보편적으로는 크로미엄 17%와 니켈 4%의 합금으로 만들어진다. 이에 반해 주조아이언은 크로미엄 성분 10% 미만의 소재로 제작된다. 다만 부식이 강해 표면에 크롬 코팅을 하게 된다.

주조품이 훨씬 부드럽고 컨트롤도 좋으며 재질이 무르기 때문에 임팩트 시 볼이 클럽페이스에 오래 머물러 백스핀(Backspin)이 커지면서 그린 공략에 좋다고 알려져 있다. 단조품이 소개된 지도 벌써 30여년이 지났다. 단조냐, 주조냐와 관련해 일반 골퍼들이 많은 오해를 하고 있슴을 지적하고 싶다.

단조품이 소개되던 당시 프로골퍼나 상급 아마추어들이 구사했던 높은 탄도, 장타의 비거리 등이 마치 그들의 골프 구사 능력에 있는 것이 아니라 클럽의 재질(단조제품)에 있는 것으로 오인되어 온 것이다. 오히려 두 클럽의 가장 큰 차이는 단조과정의 이점인 캐비티백이나 솔이 넓은 할로우 아이언 같이 다양한 모양의 클럽을 대량 생산 할 수 있느냐 없느냐의 차이라고 봐야 한다. 그러나 단조품은 로프트나 라이각도의 변형이 자유로운 반면에 대량 생산이 어려워 생산원가가 높다. 그러니 가격 면에서 큰 차이가 나는 경우엔 굳이 단조제품만 고집할 필요는 없다. 이 역시 검은 고양이든 흰 고양이든 쥐만 잘 잡으면 된다는 '흑묘백묘론'이 잘 들어맞는 듯하다.

#본 칼럼은 마인더스가 협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