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러스터' 우선 대상구역에 부산·광양만 포함 … 시 "유휴부두 없어 신청자격 안돼"
▲ 해양수산부의 유휴 항만시설 활용계획에 인천항이 배제돼 논란이 일고 있다. 인천내항 3정문의 모습. /사진제공=인천항만공사
정부가 인천항을 또 차별했다. 부산과 광양에 밀렸다.

정부가 '안한 것'을 인천이 '못한 것'이라는 핑계로 인천항 정비를 다음으로 미뤘다.

해양수산부는 신항만 건설에 따라 유휴화된 항만시설을 활용하기 위한 내용의 '제1차 해양산업클러스터 기본계획(2017~2021)'을 세웠다고 17일 밝혔다.

해양산업클러스터는 해양산업과 해양 연관산업의 집적 및 융복합 촉진을 위해 유휴항만시설을 중심으로 지정하는 산업단지이다.

지난해 5월 '해양산업클러스터의 지정 및 육성 등에 관한 특별법'이 제정됐고, 이에 따라 5년을 주기로 ▲해양산업클러스터 우선지정 대상구역 ▲대상 구역의 특성을 고려한 핵심산업 ▲향후 육성계획 등을 위한 추진계획이 세워진다.

이번이 첫 계획인 만큼 전국 항만이 관심을 기울였다.

낙후된 기존 항만 시설을 뜯어내 신개념 친수공간으로 만들 수 있는 만큼 전국의 항만 도시들은 해수부를 노크했다.

해수부는 '부산'의 손을 들어줬고, 해수부의 뿌리 깊은 투 포트 정책의 일환으로 '광양'도 포함시켰다.

해수부는 "이번 기본계획에서 해양산업클러스터 우선지정 대상구역으로 예정된 곳은 부산항 우암부두와 광양항 중마일반부두 및 컨테이너부두 1단계(3, 4번 선석)"이라며 "부산항 우암부두와 광양항 중마일반부두는 현재 유휴화된 상태로 바로 대상구역으로 지정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컨테이너부두의 경우 장래여건을 고려해 유휴화 또는 일부 유휴화 시 지정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두 지역 개발에 대한 청사진도 그렸다.

부산항은 지역 산업특화도를 고려해 해양레저선박 및 첨단 부분품 제조업을, 광양항은 R&D 육성 정책 의지를 고려해 해운항만물류 연구개발 가늠터(테스트베드)로 활용된다.

433억원을 들여 정보통신 및 타 분양의 융복합을 촉진하기 위한 연구시설, 사무시설, 상품진열실 등도 설치한다.

인천을 뺀 이유가 황당하다.

해수부는 물론 인천해양수산청과 인천항만공사가 해결 못한 것을 핑계삼아 인천을 뺐다.

해수부는 "인천항은 남항의 기능 이전 등에 따라 장기적으로 유휴화 가능성이 높고, 선결과제 등을 고려한 장기적인 검토가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남항 석탄 및 모래부두 이전, 컨 기능 신항 이전, 항만재개발 여부 등을 고려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석탄·모래부두 이전은 제3차 정부항만기본계획에 따라 2020년까지 이전돼야 하지만 정부가 이전 지역 반발에 밀려 이전을 지지부지 끌고 있고 내항과 남항 등 항만재개발과 배후단지 계획은 정부가 결정을 미루고 있다.

인천시는 해수부가 벌인 관련 연구용역에서 인천에 해당 지역이 없어 빠졌다고 설명했다.

현재 인천에 유휴부두가 없다는 인천해양수산청, 인천항만공사의 의견에 동의했다.

시 관계자는 "해수부가 벌인 해양산업클러스터 관련 연구용역에서 인천에는 유휴부두가 없다는 판단을 내렸다"며 "이 사업에 신청할 수 있는 자격이 안 됐다"고 말했다.

/이주영 기자 leejy96@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