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삼산고 교장
▲ 천혜의 보고 두무진.
백령도는 우리나라 최북서단에 위치한 섬으로 인천 연안부두에서 쾌속선을 타고 약 4시간이면 도착할 수 있다. 백령도(白翎島)의 원래 이름은 곡도(鵠島)라고 했는데 섬의 전체모양이 고니가 흰 날개를 펼치고 나는 모양을 닮아서 붙어졌다고 한다. 백령도는 북방한계선(NNL)에 인접하고 북한의 옹진반도와 가까워 흔히 38선 이북에 있는 섬으로 알고 있으나, 실제로는 38선 이남인 37°52N에 위치하고 있다. 백령도의 면적은 50.98㎢로 2006년 사곶과 화동 사이에 방조재가 준공됨에 따라 백령호와 간척지가 생겨서 우리나라의 8번째 큰 섬이 됐다.

백령도는 국가지정 명승 제8호인 두무진을 비롯해 천연기념물 제391호 사곶 천연비행장, 제392호 콩돌 해안, 제393호 감람암 포획현무암, 제507호 남포리 습곡, 제331호 잔점박이 물범, 제521호 연화리 무궁화나무 등 천연기념물을 6개나 보유하고 있는 보물섬이다. '국가지정 명승'이란 문화재청이 경치가 뛰어난 지역을 대상으로 지정한 것으로 유명한 건물, 꽃, 나무, 새, 짐승, 물고기, 벌레 등의 서식지, 유명한 경승지, 산악, 협곡, 해협, 심연, 폭포, 호수, 급류 등이 있다. '천연기념물'이란 학술 및 관상적으로 가치가 높아 그 보호와 보존을 법률로 지정한 동물, 식물, 지질, 광물을 말한다.

백령도에는 자연유산뿐만 아니라, 역사와 문화에 관련된 유산도 많다. 백령도 진촌 초입에는 동키부대 주둔지와 동백정이라는 우물이 있는데 이곳은 한국전쟁 당시 북한에서 피난 내려온 청년들을 모아 조직한 비밀결사 첩보부대원인 동키부대원이 주둔하던 곳이다. 이들은 미군으로부터 훈련 받고 나서 북한의 정세를 첨보하고 북한의 요인을 암살하는 등의 임무를 수행했다. 동키부대란 명칭은 미군이 첩보부대원에게 지급한 무전기의 모양이 당나귀(동키)와 닮아서 붙어진 것이라고 한다.

또한 용기포 신항에서 용기원산으로 가는 길가의 작은 언덕위에는 백령도에서 산출되지 않은 화강암으로 만들어진 약 1.5m 크기의 장군석(선돌)이 설치돼 있다. 이는 진촌마을의 안녕과 행운을 기원하는 민간신앙의 일환으로 세워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백령도는 심청전의 배경이 되는 섬으로 심청전에 나오는 지명이 많은데 두무진과 장산곶 사이의 인당수, 심청이 환생했다는 연봉바위, 연꽃마을이라는 연화리 등이 있고 인당수가 보이는 진촌 북서쪽 구릉에는 심청의 효를 기르기 위해 심청각을 조성해 놓았다. 백령도 중화동에는 우리나라에서 두 번째로 지어진 중화동교회와 우리나라 기독교 전파의 역사를 한 눈에 볼 수 있는 기독교 역사관이 설치돼 있어 기독교 신자들이 많이 방문하기도 한다.

백령도는 육지에서 오가는 뱃길이 멀고 기상현상에 따라 선박 출항이 금지되는 경우도 있지만, 일단 백령도에 방문해 살펴보면 우리나라에도 이렇게 아름다운 비경과 자연, 역사, 문화유산이 있는 것을 보고 적지 않게 놀랄 것이다. 백령도를 이루고 있는 암석은 지금으로부터 약 10억년 전에 바다에서 퇴적된 이암, 사암 등으로 구성된 상원누층군과 마그마 분출로 형성된 신생대 현무암 등이다. 상원누층군은 기나긴 세월 동안 지각변동을 받아 규암과 점판암으로 변성됐으나 아직까지도 퇴적당시의 환경을 알려주는 물결무늬자국(연흔), 사층리, 건열 등의 퇴적구조들을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다. 이러한 퇴적구조와 구성 암석 등으로 보아 대륙붕 환경에서 서서히 낮아진 조간대 환경으로 변하면서 백령도의 암석이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최근에는 백령도 해안가 전체를 산책할 수 있는 '백령 둘레길'을 조성해 백령도의 비경과 역사, 문화유산을 살펴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백령도의 진가를 맛보려면 를 최소한 2박3일의 여정을 잡아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