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수부 "도로로 운영돼도 충분" … 2020년 이후 '장기 과제'로 구분, 업계 "국비 투입 망설이는 것뿐" … 수송 체계·송도 생활환경 우려
인천신항 인입선 철도 건설이 '장기 과제'로 밀렸다.

유정복 인천시장의 공약 이행은 물론 인천신항 수송 체계에 빨간불이 들어왔고, 이에 따른 송도 공기질 악영향과 향후 송도 11공구 개발에도 적잖은 진통이 우려된다.

4일 각종 인천항 관련 정부 정책 발표에 따르면 인천신항 인입선 철도 건설은 사실상 2020년대 이후로 예고됐다.

인천신항 철도 인입선은 길이 13.2㎞, 사업비 5000억원 국비로, 철도수송 분담율 제고를 통한 국가물류 경쟁력 확보와 인천신항 개장 때 컨테이너트레일러 통행에 따른 송도 국제도시 내 교통 및 환경 분쟁 등 각종 민원 방지를 위해서 요구됐다.

그동안 시는 '인천신항~수인선 철도 인입선 건설' 공약 이행이 정상 추진된다고 밝혔다.

지난해 발표된 '제3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2016~2025년)에 반영됐고, 인천발전연구원을 통해 인천신항 물동량 처리를 위해서는 인천신항 철도 인입선이 필요하다는 당위성이 마련됐다는 이유에서다.

특히 시는 '해양주권' 세부계획에 인천신항 철도 인입선을 2020년쯤인 중기계획에 올렸다.

하지만 지난해 말 해양수산부가 발표한 '인천항 종합발전계획 2030'에는 인천신항 인입선 철도 건설이 장기 추진 과제로 구분됐다.

여기에 제3차 항만기본계획 수정계획(2016~2020년)에도 인천신항 철도 인입선은 "필요하지만 아직은 아니다"라는 이유로 건설비조차 반영되지 않았다.

인천신항 활성화로 컨테이너를 실은 대형 트럭이 도심을 관통하면 교통 문제는 물론 송도국제도시의 환경에 치명타를 입힐 게 뻔하다는 지적이다.

정부가 '인천신항'은 뺏지만 부산과 울산, 포항, 동해 등에는 철도 인입선을 놓는다며 구체적 예산액까지 마련했다.

정부는 3차 항만기본계획 수정계획에 내륙수송구축을 위해 4개 항만에 72.2㎞의 철도 인입선을 마련한다며 철도수송율을 2배 이상 끌어 올리고, 도로에서 철도로 물동량이 전환되면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21.6만t 감축할 것으로 예상했다.

시는 "해수부가 인천신항 물동량을 감안해 인천신항 철도 인입선 건설 계획을 마련한 것 같다"며 "중·단기적으로 인천신항 물동량은 철도가 아닌 도로로 운영돼도 충분하다는 분석이다"고 설명했다.

또 "철도계획에 포함된 만큼 4차 항만기본계획에 인천신항 철도 인입선 내용이 포함되도록 노력 중이다"고 강조했다.

지역 항만업계들은 '철도 인입선'은 단기가 아닌 장기적 관점으로 접근해야 하는 만큼 해수부의 인천 제외 결정은 "경제적 논리를 앞세운 국비 투입을 망설이는 것으로밖에 안 보인다"고 말했다.

/이주영 기자 leejy96@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