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반짝 활동·기본계획 용역 흐지부지 … 세계수산대학 유치 공모도 미참석

인천시가 해양 정책에 손놓고 있다. 부산이 세계수산대학 유치 후보도시로 선정된 것을 구경만 한 시는 '해양산업 클러스터(해양경제특별구역)' 지정에도 관심을 보이지 않는다. 항만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항만 마스터플랜'이 아예 필요없다고도 밝히고 있다.

21일 인천시 관계자 말을 종합하면 해양수산부로부터 해양산업 클러스터 지정을 받기 위해 시가 꾸린 태스크포스(TF·임시조직)는 '개점 휴업' 상태다. 지난해 하반기 국회에서 특별법 제정 움직임이 일자 '반짝' 활동을 벌였을 뿐이다. 올초 용역 연구를 시작해서 기본계획을 세운다던 목표도 흐지부지됐다.

해양산업 클러스터는 항만시설을 해양플랜트·수산가공 등 다양한 해양산업이 접목된 특별구역으로 지정하는 내용으로 구성돼 있다. 해수부는 특별법 제정 후 항만시설 규모나 지역 전략산업 등을 고려해서 클러스터를 지정할 계획을 세운 상태다.

시는 해양산업 클러스터로 해양바이오·마리나 산업을 키우려고 한다.

시 해양도서정책과는 지난달 15일 발표한 '인천시 해양산업 클러스터 조성 현황 및 추진전략'에서 "인천은 해양바이오 산업 육성을 위한 최적의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으나 혁신 역량은 매우 부족한 실정"이라며 "해양산업 클러스터 시범사업으로 해양바이오 산업을 육성하고, 마리나 항만과 산업단지 조성도 추진한다"고 밝혔다.

하지만 지난해부터 계획만 내놓을 뿐 이를 실행하려는 움직임은 없다. 지난 2013년 8월 '해양산업 종합발전전략' TF를 꾸렸지만 2년 넘도록 기초조사를 한 정도에 머무르고 있다. 수 년간 연구용역을 통해 준비해 온 부산시와는 대조적인 모습이다.

해양정책이 실종된 모습은 여기에 그치지 않는다. 해수부는 지난 19일 유엔식량농업기구(FAO) 세계수산대학 유치 후보도시로 부산시를 최종 선정했다. 부산시와 충청남도, 제주도가 경쟁에 나선 지자체 공모에서 인천시는 참여하지도 않았다.

시는 항만 마스터플랜을 수립하자는 의견까지 외면하고 있다.

김경배 인하대 교수는 최근 관광진흥확대회의에서 "노후 항만의 기능 재편과 경쟁력 강화를 위한 5년 단위 항만 마스터플랜을 수립하자"고 제안했다. 하지만 시는 "항만기본계획(10년)과 수정계획(5년)을 세우고 있으므로 별도로 마스터플랜을 수립할 계획은 없다"고 답했다.

시 관계자는 "해수부가 클러스터 조성을 준비한다는 소식을 듣고 시 차원에서 발을 맞춰야 한다고 생각해 TF를 만들었다. 지난해 10월 이후 활동이 없었던 게 사실이다"라고 말했다.


/이순민 기자 smlee@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