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학기제 2016년 전면 시행


박근혜 정부의 공약사항이었던 자유학기제가 본격적인 출범을 앞두고 있다.

지난 4월 사업 추진을 시작한 이후 42개 연구학교가 지정돼 2학기부터 활동에 돌입한다.

인천지역에도 부평동중학교와 영종중학교 등 2개 학교가 교육부로부터 연구학교로 지정돼 각 학교별 운영계획에 따라 자유학기제 운영을 시작할 예정이다.

정부는 이번 2학기부터 연구학교의 지정·운영을 통해 얻어진 성과를 토대로 2016년 전면 시행에 앞서 교육과정 운영과 수업·평가 방식 등을 정비한다는 계획이다.

이에 본보에서는 그동안 교육부에서 발표한 내용들을 토대로 연구학교에서 시행될 '자유학기제'에 대한 모습을 그려본다.


인천 부평동중·영동중 포함 전국 42개 중학교 시범운영

'아일랜드 모델' 벤치마킹…경쟁적인 입시 학습 탈피

교육부·산하기관 등 협력…체험·진로활동 전폭 지원

교사, 추가적 업무부담↑·소득 따른 편차 해결과제


▲자유학기제와 아일랜드 전환학년제의 차이점

이번 2학기부터 연구학교를 시작으로 도입되는 자유학기제는 그동안 한국 교육이 지향점으로 여겨왔던 '핀란드 모델'이 아닌 '아일랜드 모델'을 빌려왔다는 점에서 눈길을 끌고 있다.

그동안 정부가 공교육 정책을 펴는 과정에서 모델로 삼았던 것이 핀란드 모델이었지만 이번 자유학기제는 '아일랜드' 모델을 본떠 만들었다는 점이 새로운 부분이다.

이는 아일랜드의 전환학년제라는 제도 자체가 한국처럼 치열한 입시경쟁의 환경 속에서 찾아낸 대안이기 때문이다.

아일랜드 역시 입시경쟁으로 인한 성적 지상주의 교육, 무한경쟁 위주의 교육 폐해가 심각했다.

결국 이를 막기 위해 지난 1974년 당시 아일랜드 교육부 장관이던 리처드 버크가 전환학년제를 고안해냈다.


시험의 압박에서 학생들을 해방시키고 폭 넓은 학습경험을 유도하자는 목적이었다.

전환학년제는 1년여간 학교에서 시험(지필고사)을 생략하고 학교가 자율적으로 기업과 지역사회 등과 함께 진로체험 활동 프로그램을 짜는 방식 등 박근혜 정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자유학기제와 닮은 점이 많다.

한 가지 가장 큰 차이점이 있다면 자유학기제가 중학교 6개 학기 중 한 학기 동안 운영되는 정규 교육과정 모델인 것과 달리 아일랜드의 전환학년제는 진로탐색을 위해 학생이 1년을 학교에 더 다닌다는 점이다.

이와 함께 아일랜드의 경우 전환학년제 시행을 위해 수업 프로그램 전담 코디네이터를 학교마다 배치한 것과 달리 자유학기제는 일반 교사와 기존의 진로진학상담교사가 자유학기제 업무에 관여한다는 점이 다르다.

이는 교사들로 하여금 추가적인 업무 부담을 준다는 점에서 개선이 필요하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어 해결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자유학기제, 핵심은 '진로탐색'

우리나라 청소년들은 학업성취도 부분(OECD PISA, program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 에서 세계 최고 수준을 달리고 있다.

하지만 정작 청소년 행복지수는 OECD 23개국 중 최하위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부끄러운 단면도 함께 갖고 있다.

이는 우리나라 교육 정책이 학생들을 성적으로 서열화하고 상급학교 진학에만 몰두하는 무한경쟁주의 방식의 특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그 결과 지난 2008년 한국고용정보원이 조사한 바에 따르면 중학생 상당수가 장래희망이 '없다'고 응답한 비중(34.4%)은 초등학교 당시 11.2%에 비해 3배 가까이 급증하는 등 폐해가 심각해 지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박근혜 정부에서 내놓은 '자유학기제'의 핵심은 학생들의 '진로탐색'이다.

학생들이 중학교 3년의 교육과정에서 한 학기만이라도 입시위주의 교육에서 벗어나 자신의 적성과 진로를 고민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학생 스스로가 자신의 적성과 미래에 대한 고민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표다.

이에 교육부는 '자유학기제'의 핵심 목표를 '진로교육의 확산·강화'로 정해 한 학기동안 진행되는 자유학기에 집중적으로 진로수업과 체험을 진행하고 교육과정에 대한 자율성을 대폭 확대한다.

특히 기존에 개발돼 있는 '학교진로교육프로그램'을 연구학교에 우선 보급해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정부에서 운영하는 구직사이트인 커리어넷 시스템을 통한 진로심리검사를 무료로 제공해 연구학교에서 이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교과과정 자율성 대폭 확대

현재 중학교의 주당 수업시수는 국어·영어·수학·사회·과학·역사·도덕 등 '공통과정'(기본교과) 30시간과 창의적 체험활동(이하 창체) 3시간을 합쳐 총 33시간이다.

하지만 연구학교에서는 공통과정의 시간이 20시간 안팎으로 줄어들고 '창체' 시간이 13시간 가량 늘어난다.
오전에 국어와 영어를 비롯한 공통과정을 배운 뒤 오후 시간을 활용해 다양한 참여·체험형 수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했다.

특히 교과(군)에서 줄인 수업시수를 창체 수업시수로 사용하지 못하도록 한 현재의 교육부 규정도 연구학교는 예외로 인정돼 활용이 가능하다.

이렇게 늘어난 자율과정은 직업체험을 통한 진로탐색과 각종 예술·체육·동아리 활동, 선택 프로그램 활동 등으로 채워진다.

중간고사 등 지필시험도 실시하지 않아 이를 활용한 다양한 직업탐방활동도 가능하게 될 전망이다.


▲교육부 "전폭지원하겠다"

교육부는 학생들이 체험 및 진로활동을 하는데 부족함이 없도록 중앙정부와 시·도교육청, 교육지원청이 함께 협력해 공공·민간기관 등이 보유하고 있는 다양한 체험 인프라를 활용한 교육프로그램을 학교에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자유학기제 지원센터(KEDI)'를 중심으로 직업능력개발원과 문화예술교육진흥원 등 전문·연구기관과 협조해 체험활동을 위한 프로그램 및 관련 강사를 확보해 지원한다.

시·도교육청에서는 각 지자체나 대학, 기업, 공공기관 등 지역 내 인적·물적 자원을 적극 활용하는 등 시·도 안팎의 인프라를 학교가 쉽고 원활하도록 돕는다.

교육지원청에서는 지역사회 인사들이 학교에서 재능기부 등 다양한 방법으로 특강 등을 할 수 있도록 인력풀을 마련해 도서관과 미술관, 박물관, 과학관 등 학교와 가까운 현장에서 학생들의 체험활동이 이뤄지도록 한다는 약속도 했다.

특히 관련 인프라가 부족한 농어촌 학생들을 위해 도시에 위치한 원거리 기관 방문을 위한 차량지원, 학교와 기관 결연 등 인프라 매칭을 지원하고, 도시(학교, 기업 등)와 농어촌 학교 간의 실질적인 연계 등에 대한 지원도 잡혀있다.

소득 수준에 따른 학생들의 체험·진로 경험 편차 해소는 문제점으로 남고 있다.

하지만 교육부는 연구학교 지원 예산으로 학교당 최대 4000만원을 편성해 체험활동비를 지원하고, 저소득층 교육비 지원 대상에 체험 및 진로활동 경비를 포함시켜 부족한 인프라를 개선해 나갈 방침이다.

/김상우기자 theexodus@i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