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취재현장에서 ▧
   
 


며칠 전 한 시민이 연락을 해 왔다. 원도심 관련 사업 예산에 대한 문의였다. 인천시가 도대체 원도심에 돈을 쓰긴 하는지 궁금하다며 정보를 얻지 못하는 점에 불만을 토로했다.

오죽하면 기자에게 전화를 했을까. 시 중점사업에 대한 정보가 시민에게 닿지 않고 있다는 반증이었다.

공공기관은 '공공기관의 정보공개에 관한 법률'에 따라 일정한 정보를 꼭 공개해야 한다. 시 홈페이지가 그런 역할을 맡고 있다.

시 홈페이지 메뉴 중 고시·공고에는 법에 따라 인·허가에 대한 사항이나 입찰 등 매일 다양한 행정처리 사항이 올라온다.

이 곳에 올라오는 정보는 공개되지 않으면 위법의 소지가 있는 것들이다.

반면 법적으로 적당히 공개해도 문제가 없는 일반 행정정보들은 어떻게 다뤄지고 있을까. 아쉽게도 '엉망진창'이다.

공표된 행정정보 메뉴 중 '당해년도 업무계획과 예산·결산 및 기금운용계획' 게시판을 보자.

시가 어떤 정책을 펼지, 돈을 어떻게 쓸지 담겨야 할 게시판에는 각 기관별 업무추진비와 하수도 원가, 지난해 기금 운용계획, 2010년도 재무보고서가 어지럽게 널려있다.

게시판 관리가 엉망인데다 원도심 활성화 등 새로운 시 정책은 한 글자도 실리지 않았다.

'시·지방공사·공단 부채현황 및 상환계획' 게시판은 더욱 가관이다.

2006년에 올라온 '2005년 기준 부채현황 및 상환계획'과 지난 2011년 6월자 '공기업 부채 및 상환계획'이 전부다. '시정 주요 통계 조사 결과'에도 지난해 4월 이후로 새로 올라온 글이 없다. 인천시의 정보는 이처럼 '대충' 공개되고 있다.

반면 서울시를 돌아보자. 서울시는 정보소통광장(http://gov20.seoul.go.kr/)을 통해 다양한 최신 정보를 공개하고 있다.

18일 이 홈페이지에는 다리에 대한 안전진단 결과 보고서가 올라왔다. 다리가 위험하다는 결과가 나오면 시끄러울 수 있는 정보였다.

서울시는 이 같은 정보를 가공없이 보고서 그대로 공개했다. 인천이라면 상상도 할 수도 없는 일이다.

인천시청 어딘가에서 벌어지는 기자와 공무원간 실랑이는 이제 익숙한 풍경이다. 오늘도 정보를 가공없이 달라는 기자와 그걸 막는 공무원이 격돌한다.

한 공무원이 말했다. "이거 기사로 나가면 시장님께 크게 혼나고 문책당해요. 취재원을 색출한다니까요" 이게 바로 인천시의 자화상이다.

/박진영 정치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