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취재현장에서 ▧
   
 


인천문화재단은 지역에서 활동 중인 문화, 예술인들을 전문적으로 지원해 주기 위해 시민 혈세로 설립, 운영되는 단체이다. 하지만 작금의 돌아가는 모양새와 운영 실태 등을 보면 마치 대표이사 개인이 설립한 사유 조직이 아닐까 하는 착각이 들기까지 한다.

설립 당시의 취지와는 달리 이 재단이 이렇게 변해 버린 이유는 간단하다.
재단의 운영 특성 상 인사, 복무 등 모든 사항이 내부 구성원들에 의해 결정되고 진행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런 탓에 재단에서 어떤 일들이 벌어지고 있는지 외부에서는 알 도리가 없다.

최근 불거진 대표이사의 원칙 없는 인사, 업무 태만, 자기 사람 챙기기와 같은 전횡이 뒤늦게 밝혀진 것도 이런 까닭에서다. 이 재단은 작년 1월 전 직원들을 대상으로 '보안각서' 서명을 받는 등 보안 유지를 핑계로 폐쇄적인 행태를 보여 외부로부터 거센 비난을 산 적도 있다.

최근의 사태와 관련해서도 대표이사의 연락처를 물어보는 기자에게 "대표이사님은 원래 개인 휴대폰이 없으십니다"라며 현 본부장 직무대리에 있는 직원은 친절하고 상냥한 목소리로 대답하기도 했다. 그러나 대표이사는 개인 휴대폰이 있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이렇게 폐쇄적으로 운영돼 오던 문화재단의 문제가 세상에 알려진 것은 어찌 보면 예정된 일이었는지도 모른다.

문화재단의 문제가 외부에 알려진 뒤 지역내 문화, 예술계 인사들은 하나 같이 이 재단뿐만 아니라 거의 모든 시 산하 법인의 운영 실태가 비슷하다고 입을 모은다. 그만큼 공공기관의 운영이 투명하지 못하다는 설명이다.

문화재단의 잘못된 운영 실태를 개선하고 제대로 된 역할을 하게 하려면 운영의 투명성 확보가 시급하다. 다시 말해 외부에서도 운영 상황을 확인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서둘러 마련돼야만 한다.
이런 점을 중시한다면 인천시는 규정만을 내세워 문화재단이 스스로 잘 운영하기만을 바랄게 아니라 철저한 관리감독에 나서야 할 것이다.

앞으로 인천문화재단은 시민들과 인천지역 문화, 예술인들로 하여금 신뢰를 회복하고 어두운 과거를 벗어 던져야 한다.

단기간에 고쳐지긴 힘들겠지만 재단 스스로 노력해야만 하는 숙제를 안게 됐다.

/최성원 사회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