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갈데 없는 인천 목재업계'시름'

인천지역 전통산업의 축인 '목재업계'가 시름을 앓고 있다.

1980년대 기계·금속과 함께 인천의 3대 산업으로 현재는 인천항 5대 화물의 하나로서 꾸준히 산업활동을 펼치고 있으나 점점 설 자리가 좁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12일 ㈔대한목재협회와 ㈔한국목재합판유통협회에 따르면 인천 북항 배후지역 개발이 본격화 되면서 그 동안 북항 배후지역을 활용해 산업활동을 벌여 온 70여 개 목재류 유통업체가 오갈 곳 없는 신세가 됐다.

이들 업체는 1979년 매립된 인천 북항 배후지역의 일부 땅을 빌려 20여 년이 넘게 원목을 포함한 목재류를 저장·보관하는 등 업역을 유지해 왔다.

국내 목재류 수입의 약 53%가 인천항으로 수입된 뒤 수도권 전역으로 유통되고 있는 상황에서 이들 업체가 입주해 있는 인천 북항 배후지역의 효용가치는 산술적으로 평가하기 어렵다는 게 전문가들 견해다.

하지만 정작 북항 배후지역의 효율가치를 높여야 할 정부와 인천시는 이들 목재류 유통업체들의 존립 기반을 파헤치는 쪽으로 개발정책을 펼치고 있는 상황이다.

북항 배후부지 개발사업의 초점을 첨단산업과 관광서비스 분야에 맞추다 보니 향후 북항 배후지역의 개발계획에 목재단지 조성 면적을 대폭 축소시킨 것.

실제로 1997년 당시 해양수산부의 북항 준설토 투기장 매립지는 원목 등 목재류의 저장을 주목적으로 계획됐으나 이후 계속 축소돼 현재는 약 16만5천㎡로 줄어들었다.

당장 남의 땅을 빌려 부지를 사용 중인 목재류 유통업체들은 정부와 시에 목재류 유통·물류단지 조성 확대를 요청해 오고 있으나 돌아오는 메아리는 없다.

결국 상당수 업체가 사업을 포기하거나 인근 평택항 배후부지로 이전을 고려하는 상황에 놓여 있다.

정명호 대한목재협회 전무는 "연내 부지 임차계약이 끝나 당장 부지를 내줘야 할 형편"이라며 "정부와 시는 목재산업의 가치를 제대로 인식해 목재산업단지 조성비율을 늘리거나 대체부지를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정순기자 onegolf@i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