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병선경기본사 경제부장
   
 

최근 이른 무더위에 장마까지 겹치면서 연일 후덥지근한 날씨가 지속돼 냉방용 전력사용이 급증하고 있다. 그 영향으로 이달초 전력예비율이 10% 안팎까지 떨어지는 등 본격적인 무더위가 시작되기도 전에 전력수급에 비상이 걸렸다.
특히 이달 들어 은행과 백화점 등 서비스업종의 전력사용량 증가폭이 예사롭지 않다. 다중이용업체들의 에너지 과소비에 대한 강력한 대책이 나와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여기에 지식경제부와 전력공기업들은 올 여름 전력수요가 사상 최초로 7천70만㎾까지 달할 것이란 관측을 내놓고 있다. 이는 강추위로 인한 난방기구 사용량이 급증했던 지난 1월13일 낮 12시에 역대 최고를 기록한 6천896만㎾보다 174만㎾ 늘어난 규모다. 돌아가는 상황이 아주 심각하다.
내달부터 본격적인 무더위가 시작되면 전력예비율이 6% 이하로 떨어질 가능성이 많다는 우려 섞인 전망이 곳곳에서 터져나오고 있다. 이에 상응한 대책이 없을 경우 예기치 못한 정전 등의 사고 발생가능성이 높아 막대한 피해가 우려된다.
통상 정부와 전력기관들은 전력예비율이 10% 이하로 내려갈 때부터 경계상황을 유지했다가 6~7% 아래로 떨어지면 비상사태로 판단한다. 그 어느때보다 관련 정책당국의 발빠른 대응책 마련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최근 전력수요가 고공행진하는 것은 경기회복과 더위가 겹치면서 산업용은 물론 서비스업종, 가정용, 교육용 등 전 부문에 걸쳐 전력수요가 크게 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기상청은 6월 중순부터 7월초 기온이 평년(17~24℃)보다 5~10℃이상 높은 날이 많겠다고 전망했다. 통상 사상 최대 전력수요는 8월 중순쯤 기록하지만 올해 무덥고 습한 이상기온이 6월초부터 이어지며 전력사용량이 가파르게 늘고 있다는 분석이다.
본격적인 무더위가 시작되기도 전에 전력수급에 이상징후가 나타나기 시작한 것이다. 위기의식을 느낀 정부가 냉방용 전력수요가 많은 은행과 백화점 등의 실내 냉방온도 등 전력소비를 규제하고 나섰다. 때늦은 감은 있지만 그나마 다행이다.
앞으로 은행이나 놀이공원 등은 26℃, 백화점이나 공항 등은 25℃ 이상을 유지해야 한다. 이제 한여름 무더위를 피하는 장소로 애용돼 온 은행과 백화점 등이 앞으로는 '도심 피서지' 역할을 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지경부는 올해초 개정된 에너지이용합리화법에 근거해 건물의 온도 규제가 가능해짐에 따라 올 여름부터 서비스업종에 대해 지나친 냉방을 규제하기로 했다. 이들 서비스업의 에너지소비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난 만큼 일단 자발적인 에너지 절약실태를 지켜본 뒤 낭비요인을 제거하기 위해 강력한 규제에 나선다는 방침을 세운 것이다.
앞으로는 상업용시설의 여름철 실내온도가 규정온도인 26℃(판매시설과 공항은 25℃)를 지키지 않을 경우 과태료를 부과하고 시정 명령를 내리는 등의 규제가 뒤따른다. 이밖에 연간 에너지사용량이 2천TOE(석유환산톤) 이상인 건물 중 의료기관, 공동주택단지 등을 제외한 570∼580개 건물도 이번 규제 대상에 포함시켰다.
최경환 지경부장관도 지난 23일 은행, 백화점, 호텔, 대학 등 교육기관, 의료기관, 공항, 놀이공원 등 서비스업종 대표들과 에너지절약 간담회에 이어 결의대회를 개최하고 에너지다소비 서비스업종에 대한 에너지절약 대책을 강력히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이러한 에너지 절약이 성과를 내기 위해서는 일회성에 그쳐서는 안되고 꾸준한 노력을 통해 생활화돼야 할 것이다. 과거에도 이와 유사한 민관 주도의 에너지 절약 캠페인이 끊이지 않았지만 대부분 과시성, 이벤트성 행사에 묻혀 중도에 흐지부지 되는 사례가 허다했기 때문이다.
에어컨 온도를 1℃만 높이면 한해 2조원 이상을 아낄 수 있다. 가정에서 실내온도 1℃ 낮추려고 발전소 1개를 더 지어야 하는 일은 없어야 하지 않을까 한다. 이제 실천하는 일만 남았다.
--------------------------------[본문 2:2]-----------------------------------

송영길 인천시장 당선자가 아시아경기대회 주관기구인 아시아올림픽평의회(OCA) 측으로부터 2014년 인천대회 주경기장 문제를 인천이 알아서 결정한다는 합의를 얻어냈다. 이로써 앞으로 주경기장을 서구에 신축하든 아니면 문학경기장을 활용하든 국제신인도 실추를 걱정하지 않고 정할 수 있게 됐다.
지역사정을 고려하면 다행스런 일이 아닐 수 없다. 그렇다고 주경기장 건설논란이 완전 정리된 것은 아니다. 무엇보다 우선 송 당선자의 건설지 변경발언 이후 서구는 물론 문학경기장이 있는 남구 지역사회도 술렁이고 있다. 심지어 서구에선 정치권을 중심으로 '원안 고수' 주장이 나오는 등 벌써부터 여론이 심상찮게 돌아가고 있다.
물론 이들 지역민들이 이러는 걸 무작정 탓만 할 순 없다. 주경기장 건설문제를 놓고 전임 시장 시절 기대심리를 한껏 부풀게 했을 뿐 아니라 실제 앞으로 어떻게 결정되느냐에 따라 해당지역 발전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게 뻔한 때문이다.
이를 감안하면 자칫 이 문제가 그 처리 여부에 따라선 '인천판 세종시'가 될 공산도 배제할 수 없다는 점에서 우려치 않을 수 없다. 이와 관련해서는 OCA와의 합의 뒤 송 당선자가 밝혔듯 인천시의 재정상태, 아시안게임의 성공개최, 시민 이익 등을 놓고 신중히 결정해야만 한다.
뿐더러 이번 기회에 2008년초 주경기장의 서구 신설 결정과정을 되짚어 볼 필요가 있다고 본다. 2007년4월 유치 결정 당시 인천시가 내건 조건은 문학경기장 활용이었다. 이는 기존 개최도시들이 대회 뒤 경기장 사후관리문제로 재정적으로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게 배경이 됐다.
그러하건만 굳이 주경기장을 서구 신설로 변경한 이유를 좀체 이해키 힘들다. 시는 당시 OCA 측의 7만석 경기장 요구를 변경사유로 들었지만 이 역시 이번 합의로 사실이 아니라는 게 드러났다고 볼 수 있다. 섣부른 주경기장 변경이 적잖은 예산 낭비와 함께 지역 갈등을 초래하고 있다는 점에서 시시비비를 가려야 함은 두말할 나위도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