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경기평택항만공사의 역할론
실제로 지난 2008년 12월 부산 북항 재개발을 시작으로 한 인천항, 군산항, 고현항 등에 대한 재개발 사업이 구체적 추진되면서 해양레저인프라와 항만친수공간에 대한 체계적인 개발 사업도 함께 진행될 것으로 전망된다.

평택항 역시 이런 추세 속에서 지속 가능한 경제 성장 지원을 위한 경쟁력 있는 항만 인프라 구축이 가장 우선시 돼야 한다는 것이 지배적 여론이다.

다시 말해 항만공사의 역할은 평택항을 고부가 가치 허브항 및 광역경제권별 특화 개발 등과 같이 '경제의 역동성 회복을 위한 물류 인프라 구축'에 힘을 집중할 필요성이 있다는 것이다.

항만공사는 뿐만 아니라 항만재개발, 레저포트, GREEN Port, 임항권역 방재 체계 등 '임항권역의 지속 가능한 발전 기반 마련'에도 각별한 주의를 기울여 나가야 한다.

이런 여건 조성을 위해 항만 관련 전문가들은 항만공사가 주도적으로 수요 예측 체계 개선과 민간투자사업 및 해외투자 지원 등 '항만 투자 및 개발 체계 개선'에 필요한 프로젝트 개발에 주력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지난해 12월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열린 '평택항 활성화 설명회'에서도 이런 논의가 진행된 바 있다.

당시 김문수 도지사는 "평택항은 대중국 교역의 관문이자, 수도권과 거미줄같이 연결된 내륙 교통망의 중심에 위치한 중부권의 거점 항만으로 내륙 운송비가 다른 항만보다 매우 저렴하다"고 밝혔다.

김 도지사는 이날 평택항의 발전 가능성을 충분히 인지하고, 역설했다. 이어 국토부 관계자 역시 "평택항은 시간이 지날수록 물류 경쟁력이 강화되고 있다"면서 "국제항만으로서의 성과를 높여나가고 있는 등 많은 발전이 기대되고 있는 항만"이라고 평가했다.

평택항만공사 서정호 사장도 설명회 당시 평택항 발전을 위해 '평택항에 대한 적극적인 투자'를 강조했다. 위에서 언급했듯이 적극적인 투자를 이끌어 내기 위해 가장 시급한 것은 '인프라 구축'이라는 점은 공통적으로 공감하고 있는 상황이다.

항만공사는 그래서 경기도와 평택시의 출연금 및 사업비로 항만 인프라 구축을 주도하기보다, 적극적인 항만 사업 아이템 개발과 자체 자정 노력도 함께 필요하다는 지적을 지속해서 받고 있다.

항만 관련 전문가들은 항만을 가진 나라가 부강해졌던 만큼 항만을 가진 지자체가 발전하게 되는 것은 불을 보듯 뻔 한 일이라고 주장한다.

국책 사업으로 추진 중인 항만이 일개 지자체에서 해결할 수 있는 문제는 아니지만 지역 주민들이 평택항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중앙정부에 지속적으로 개발 요구를 할 수 있도록 항만공사가 주축이 되어 힘을모아야 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 아닐까 싶다. <끝>

/남부취재본부=박희범·임대명기자 (블로그)hbp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