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자유구역 육성은 원론적으로 21세기 세계화에서 경제허브로 도약하기 위한 생존전략이다. 그래서 개발사업의 구심점인 경제청의 역할이 막중함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그런데 동북아의 경제허브도시를 자처하며 전국 최초로 출범한 인천경제구역청이 그동안 허송세월을 보냈다는 비판이 일고 있는 데에는 그만큼 성과가 미미했기 때문이다. 물론 경제구역 사업이 중앙정부의 간섭을 받아야 하는 입장에서 지자체와 경제청의 실책만 탓할 일은 아니다. 하지만 인천경제청은 실무에 관한 문제점을 관련부처에 전달하고 반영시킬 역할을 다하지 못한 책임은 면키 어렵다.

엊그제 인천시의회 산업위 의원들이 인천경제청의 주먹구구식 사업진행에 격앙된 목소리로 질책했다. 정부 계획대로라면 이미 2008년 9월에 초중고교 학생 2천100명을 수용할 수 있는 정규 국제학교가 송도에 들어서야 했다. 2005년 11월 미국 명문 사립학교인 밀튼아카데미가 송도국제학교와 파트너십을 맺기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는 정부발표는 결국 헛구호가 된 셈이다. 그나마 지난 7월말 정부로부터 승인을 받지 못해 올 9월에도 송도국제학교 설립이 어렵다고 밝혔다. 지난해 9월로 예정된 개교가 한차례 연기됐는데 또다시 미뤄진 것이다.

경제자유구역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해 먼저 외국인학교가 설립돼야 하는 이유는 외국인들의 주거여건을 조성해 투자를 유치하는 데 있다. 건강보건을 담보할 의료기관과 함께 교육문제가 해결되지 않고선 외국인투자를 기대할 수 없다. 그런데 인천경제청이 제출한 외국인학교 10개 평가항목 중 9가지를 충족하지 못해 승인할 수 없었다는 게 정부 해명이다. 이걸 준비라고 제출한 것이 한심하다. 이렇다 보니 외국인투자도 늘어날 리 없다. 오는 2020년까지 투자유치 목표액을 360억달러로 정해 놓고 있지만 현재까지 투자유치액은 겨우 4억8천만달러에 그치고 있다.

외국인학교 입장에선 정원도 채울 수 없는 인천경제구역의 여건에 매력을 갖겠는가. 인천시, 인천경제청 그리고 정부는 동상이몽을 버리고 지금이라도 외국인학교 설립에 모두 머리를 맞대 방법을 찾아야 한다. 그래야만 인천경제구역의 길이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