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중독 쇼크’가 온나라를 흔들고 있다. 서울·인천·경기 등 수도권 중·고교 27개교에서 식중독으로 추정되는 급식사고가 발생, 무려 2천명에 가까운 환자가 발생했다.
이번 사고가 사상 최대로 확대된 것은, 지난 16일 서울 3개 학교에서 처음 발생한 이후 바로 대응체제에 들어가지 않은데 따른 것이라고 한다.
대규모 식중독 사고 자체도 문제지만 급식업체와 학교, 교육당국 등의 안이한 대응이 더 큰 문제로 지적됐다.
식중독 사고가 난 학교의 급식업체인 CJ푸드시스템은 지난 16일 처음으로 식중독사고가 발생한 이후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 안이한 대응이 결국 며칠 사이 27개교로 확산되는 대형사고를 불러온 꼴이 됐다.
교육당국이라도 팔을 걷어붙이고 나섰어야 했는데, 이 쪽도 태평하기는 마찬가지였다. 경기도교육청 역시 지난 19일 성남 H고교로부터 학생 40여명에 대한 식중독 의심 증상 신고를 접수했지만 보건소에 검사·의뢰를 했을 뿐 급식중단은 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평소보다 복통 등을 호소하는 학생들은 많았지만 주말 과식 등으로 인해 탈이 난 것으로 생각했다”는 것이 그 이유다.
학교 집단식중독 사고가 확산될 때마다 되풀이돼온 전형적인 모습의 교육당국의 행태다.
이처럼 단골로 식중독이 발생하게 된 데는 무엇보다 급식업체간 과열경쟁으로 가격이 최대 취약요인으로 꼽힌다. 이러다 보니 아무래도 식자재 등에서 위험 요인을 안을 수밖에 없다.
학교는 대규모 식중독사고가 발생하는 단골장소다. 여름철만 되면 특히 학교에서 빈발하는 식중독사고는 예방이 최우선이다.
그러나 일단 발생한 후에는 무엇보다도 신속히 대응하는 것이 피해를 최소화하는 필수적 조치임을 잊어서는 안된다.
언제까지 급식업체에만 맡겨둘 것인가. 이젠 학교와 교육당국, 지자체와 정부당국이 내내 신경을 곤두세우고 감시·감독해야 할 것이다. /박상권기자 (블로그)kw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