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당국이 최근 대규모 급식 사고를 야기한 원인식품을 규명하는데 적잖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현재 질병관리본부, 식품의약품안전청, 서울시 등  지자체의  보건환경연구원이 전면에 나서 서울과 인천, 경기 등 수도권 일대 학교에서 발생한 대형 급식 사고 원인균과 원인물질을 밝혀내는데 전력하고 있다.

    일단 학생들의 가검물에 대한 조사에서 `노로 바이러스'가 이번 식중독 사고의 원인균이라는 사실을 밝혀내는 잠정적인 성과를 거뒀다.

    하지만, 문제는 이 바이러스가 어떤 식품원료에서 유래했는가를 규명하는 게 그리 쉬운 일이 아니라는 데 있다.

    원료식품 검사에서 노로 바이러스를 검출해야만 정확하게 식중독 사고를 일으킨 원인식품이 무엇인지 알 수 있는데, 이것이 만만찮은 작업이라는 것이다.

    무엇보다 노로 바이러스의 경우 환자의 가검물에서는 쉽게 검출되지만 정작  원료식품에서는 검출하기가 여간 까다롭지 않다.

    식중독 사고의 원인을 밝히려면 환자의 가검물에서 나온 병원균과 음식에서  검출한 병원균이 일치해야 한다.

    게다가 보건당국이 수거한 원료식품이 극히 적다는 점도  어려움을  가중시키는 요인이다.

    학교 급식에 사용되는 식품원료는 당일 공급받아 당일 소진하는 게 원칙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음식재료 물류센터나 학교식당에는 원료식품이 거의 남아있지 않다. 음식재료를 공급한 납품업체의 사정도 마찬가지. 검사를 하려고 해도 검사재료가 별로 없어 정확한 원인식품 규명에 장애가 되고 있는 것이다.

    이 때문에 추정만 할 뿐 최악의 경우 원인식품을 밝혀내지 못하는 게 아니냐는 우려마저 나오고 있다.    실제로 식중독 사고의 원인균과 원인식품이 무엇인지 알아내지 못하고 미궁에 빠진 경우가 많았다.

    이에 대해 질병관리본부 관계자는 원인식품 규정작업이 쉽지 않은 일이긴  하지만, 수많은 환자의 가검물과 식품재료에 대한  검사, 그리고 역학조사를 동시에  진행하고 있는 만큼 조만간 윤곽이 드러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