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수선한 5·31 지방선거 투표일이 일주일 앞으로 다가왔다. 정치무대에 등단하려는 유명무명 지망생들이 내건 출사표(出師表)에는 저마다 기고만장한 결의가 넘쳐흐른다.
 기초의원, 광역단체장을 가려내는 표심 향방은 후보자의 ‘명예’와 ‘직업’ 뿐 아니라 그 연장선에 차기대통령선거의 척도가 가늠되리라는 예측에서 정당간의 각축전 또한 피를 말린다.
 여전히 냉소적인 선거관심도와 투표의향을 여하히 제고하느냐의 답답한 심정에 불을 당기고자 그나마 정책과 공약, 경륜과 도덕성을 유권자에 부각시키려는 안간힘이 드세다.
 흔히 “야구는 끝날 때까지 끝난 것이 아니다”고 하듯 선거도 당일 뚜껑을 열기 전에는 아무도 예측불허의 의외성을 배제할 수 없어 허를 찌를 묘안창출에 부심하는 모습이다.
 서서히 우열의 판도가 가시화됨에 따라 열세에 몰린 진영에선 이를 만회코자 왕년의 ‘병풍사건’과 같은 어줍지 않은 역공작전을 펴보고 싶은 충동을 받는 것도 이맘때의 선거기류다.
 겉으로는 공명정대한 경합을 주창하건만 정작 뒷전에서 비방과 폭로를 서슴치 않는 것이 요즘 정가에 파다한 포퓰리즘(대중영합주의)이다. “정치는 옳은 것이 이기는 게임이 아니라 이긴 것이 옳은 게임”으로 치부하는 정상배로선 궁여지책으로 무슨 일인들 못하랴.
 따라서 여차하면 허위도 마다 않을 함량미달후보에게 어찌 내 고장살림을 맡길 수 있겠는가 함이니 자질과 능력의 옥석을 가려 손 들어줄 책임은 오로지 유권자의 몫인 것이다.
 마음씨가 선거철만 같아라 싶어지는 것이 어디를 가나 겸허한 후보자와 마주치기 어렵지 않다. 평소에 목에 힘을 주던 후보도 선거철이면 으레 허리가 유연해지고 미소가 떠나지 않을 뿐더러 유권자의 가려운 데를 긁어주려는 자상함마저 돋보이니 · · · .
 이런 실화가 있다. 지방유세에 나섰던 알만한 정치인이 마중나온 젊은 주민에게 넌지시 “자네 부친은 안녕하신가”고 물었다. 그가 지난해 돌아가셨다고 하자 침통한 얼굴이 되어 위로하니 상주로서 감격할 수밖에 없었다. 나중에 보좌관이 누구냐고 묻자 모른다 했다. 어째서 초면인사의 ‘부친’을 아는 척 하는가 거듭 묻자 “아비 없는 자식이 있었던가”고 반문하더란다.
 하기는 “거짓말도 잘만하면 논 닷 마지기 보다 낫다”고 한다. 사기꾼이 거짓말하는 것은 제 실속을 차리려 상대를 농간하는데 반해 암(癌)에 걸렸는데도 의사가 환자에게 단순한 염증이라 했다면 절망을 덜어주려는 배려가 깔린 거짓의 효능이다.
 문제는 자기 잇속의 거짓이다. ’제퍼슨’은 “한번 거짓을 한 사람은 그 거짓을 지탱하기 위해 더 많은 거짓을 지어낸다”고 했다. 가식으로 치장한 후보가 유권자의 지지를 얻을 것으로 여기는 허위의식이 지탄받지 않는 한 사회부조리가 이어 활개칠 것은 물으나 마나이다.
 무릇 후보자가 지니기 쉬운 착각의 하나는 상대를 평가하기 인색하고 매사를 헐뜯다 보면 부지중에 자신의 흠집을 가려낼 줄 모르는 불감증이다.
 양심을 따지는 우스갯소리에 이런 대목이 보인다. 여러 도둑들이 모여 도둑질해 온 물건을 나누고 있는데 물건 하나가 없어진 것을 발견했단다. 도둑들이 저마다 이상하게 여기며 “우리 가운데 양심이 없는 사람이 있나보이”라고 · · ·. 매사 잘못을 따지면서 자기는 예외라는 시각은 거짓에 버릇 들면 양심판별의 분별력이 무뎌진다는 보기다.
 이점을 감안할진대 이번 지방선거를 어영부영 넘기면 나라농사 망친다는 지적을 면키 어렵다. 차제에 후보자를 통해 기대해 마지않는 최대공약수를 이끌어 내기 위해 가능한 공보열람 등을 통해 실현 가능치를 따지는 것이 선거풍토 개선의 일차적 작업이다.
 과연 정치꾼을 뽑을 것인가 살림꾼을 뽑을 것인가, 말꾼에 솔깃할 것인가 아니면 일꾼을 찍을 것인가의 분별력은 두고두고 후회를 남기지 않는 신뢰구축을 위한 저마다의 의무다.
 설사 의중에 맞는 후보가 없다손 치더라도 차선책을 선택하는 것이 기권보다 백배 낫다. 예전부터 이르기를 나쁜 정치인은 투표하지 않는 선한 유권자에 의해 선출된다고 하지 않았던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