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에서도 오는 7월부터 ‘재래시장 상품권’이 본격 발행된다고 한다. 시행 계획에 따르면 인천시는 다음달 중 금융기관, 상인연합회 등과 협의를 갖고 상품권의 발행 관리 및 판매처 선정 문제 등을 매듭짓고 상인들의 상품권 운영 관련 교육을 거쳐 상품권 35만매를 시내 전 지역에 유통시키기로 했다. 시가 지난해부터 추진해 온 상품권 발행 사업이 가시적인 성과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현재 인천지역 재래시장은 40여개에 이르고 있으나 대부분 심각한 판매 부진에 허덕이고 있다. 우선 상권은 대형 할인점 등에 밀려 날로 위축되고 있다. 이런데도 시장 상인들은 환경 변화에 전혀 대응조차 하지 못하고 있다. 영세성과 전문성 부재가 주된 이유다.
뿐더러 그동안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들이 재래시장을 활성화시키겠다며 시행해 온 대책마저 실효를 거둔 예가 극히 드물다. 시책이라 해 봤자 재건축 등 하드웨어 관련 사업이 주를 이루면서 상인들을 철저히 외면해 온 탓이다.
이러한 기존 시책과 비교하면 시가 이번에 시행중인 상품권 발행 사업은 분명 차별화된 것임에 틀림없다. 상품권 발행은 상인들이 절실해 하는 판로 확장과 관련이 깊다. 그렇지만 이 사업이 성과를 거둘 수 있을지는 아직 미지수이다. 상품권을 발행한다 해도 소비자들 사이에 실추돼 있는 재래시장의 이미지가 개선될 지 장담할 수 없다는 것이 문제이다.
재래시장이 주민생활에 미치는 영향은 적지 않다. 재래시장은 우선 수적으로 많다. 취급 상품 또한 다양해 지역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다. 주민들의 만남의 장소로써 공동체 화합에도 그 역할이 지대하다. 이번 지방선거에서 후보자마다 빼놓지 않는 공약 중 하나가 재래시장 활성화라는 점이 이를 증명하고 있다.
시가 시행중인 이번 사업이 성과를 거두려면 상품권 발행에만 머물러서는 안 된다. 상품권 발행에 못지않게 중요한 것이 사후 관리이다. 시장 상인들이 영세하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사후 관리 역시 지자체가 주도해야 한다는 것은 두말할 나위도 없다. 지금부터라도 지자체를 중심으로 경제단체, 시민단체들이 참여하는 사후 관리 협의회를 구성, 운영하는 것을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