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켜야할 해양생태공원 / 송정로 부국장 겸 사회부장
인천에서 안산 방면으로 고속도로를 타다 보면, 월곶 못미쳐 왼쪽으로 드넓은 습지가 눈에 들어온다. 옛 염전 터와 장아산 등으로 이뤄진 이 일대가 얼마전 부터 대규모 택지개발을 위한 서창2지구(서창, 운연, 논현동 일대 77만평)로 지칭되고 있는 곳이다.
그린벨트인 이곳이 계획대로 오는 3월 임대주택 택지개발 예정지구로 지정된다면 , ‘국민임대주택건설 등에 관한 특별조치법’에 의해 그린벨트는 자동 해제되고 2011년까지 임대 8천가구를 포함해 1만6천가구의 아파트가 건설된다.
이에 대응해 이달 3일 인천지역 환경·시민단체와 남동구의회와 남동의제21,남동지역 각 사회단체 등 21개 단체가 ‘서창2지구 택지개발 반대 및 수도권해양생태공원 수호를 위한 비상대책위’를 발족했다. 지역의 주요 시민·사회단체가 거의 모두 참여해 건설교통부 및 주택공사와 첨예하게 대립함으로 지역의 주요 현안으로 부각되고 있는 것이다.
서창2지구에 대한 개발 논란은 지난해 6월 주공이 남동구청에 택지개발예정지구 지정을 제안하면서 시작됐다. 7월 당시 ‘소래택지개발반대 대책위’는 반대성명서를 발표했고 곧이어 남동구도 택지개발 반대 의견서를 인천시에 제출했다.
그도 그럴 것이, 남동구는 지난 2000년 이 일대 107만평에 대해 수도권해양생태공원으로 기본계획을 수립했다. 서창2지구는 이 생태공원의 2단계 지구에 해당한다. 99년 6월부터는 폐염전, 갯벌 21만평을 ‘소래해양생태공원’ 자연학습관으로 개방, 환경체험교육을 실시해오면서 지금도 이곳에는 많은 시민·학생들이 찾고 있다.
갯벌이 소래포구와 연결된 이일대는 다양한 철새가 날아들고 전국에서 가장 많은 염생식물이 서식하고 있는 곳으로 알려져있다. 특히 갯골이 장아산, 장수천과 연결돼 해양식물과 육상식물이 어우러져 자연스런 해안 경관을 유지하고 있으면서, 인천의 역사와 향토적 정취가 남아있는 인천의 유일한 생태공원지라 할 수 있다. 생태계 보전 자체를 위해서도 그렇지만, 이 일대는 인천대공원과 소래포구를 연결하는 관광자원으로서 활용가치가 높은 곳임에 틀림없다. 이곳이 택지 등으로 개발된다면 육지와 해양간 생태계는 단절되고 동식물의 통로가 막혀 해양생태공원에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밖에 없는 것이다.
인천은 바다를 끼고 있는 항구도시이면서 그 연안은 지난 수십년에 걸쳐 끊임없는 매립과 산업기지 및 공단조성 등으로 삭막하기만 하다. 해양환경 보전은 고사하고 임해관광지 조차 제대로 없는, 보통 시민들의 삶의 질이란 눈으로 보았을 때 매우 불행한 도시다.
이제 시민들이 삶의 질에 눈을 돌리면서 소래지역 해양생태공원은 매우 절실한 과제로 다가서고 있다. 따라서 이곳에 대한 택지개발은 단순이 임대주택 차원의 문제를 넘어서 인천시민의 삶의질, 나아가 인천의 ‘정체성’ 파괴와도 같은 것으로 해석되는 것이다.
문제는 지난해 7월 시행에 들어간 국민임대주택건설 특별법의 획일적이고 일방적인 추진이다. 이 법에 따르면 지구지정에 관해 구가 주민공람을 거부할 경우 건교부가 직권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하고 있으며 지구지정과 그린벨트 해제를 동시에 이뤄지게 함으로서 인천시 도시계획위원회도 무력화하고 있다.
문제는 지자체와 시민협의체가 지역의 특색을 살려, 시민적 호응과 기대속에 공들여 추진해온 해양생태공원을 무시하고 임대주택을 강행하는 것이 국가적으로 옳으냐는 것이다.
남동구는 8천가구의 임대주택을 한곳에 지어 저소득층을 한곳에 집중시키는 데 따른 문제점을 지적하고 있다. 최근 논현2지구, 한화, 장수 택지개발 등등에 따른 주택과잉 공급, 교통혼잡 등의 심각성도 지적하고 있다.
주택공사가 굳이 인천의 유일한 생태공원 지역을 선택한 것은 값싼 토지매입가와 얼마 안되는 보상 편의를 고려한 것일 것이다.
그러나 특별법을 앞세워 소래생태공원이라는 인천의 막대한 생태적, 관광적 자산을 희생시키는 우를 범해서는 안된다. 건교부와 주공은 이번 사업을 재고함이 옳다. 그리고 인천시는 생태공원의 추진을 위해 적극 나서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