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학 연구가 제자리를 찾고 보다 가시적인 발전을 이루기 위해서는 연구의 기반이 되는 각종 자료의 체계적인 수집과 보전, 그리고 이를 올바로 해석해내는 서지학적 작업이 선행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인천 향토사를 연구해온 조우성(광성고 교사)씨는 2일 인천학연구원이 주최한 제21회 인천학세미나에서 ‘인천학 연구의 방법과 과제’라는 주제의 발제를 통해 “지역사 연구에 있어 가장 먼저 수행해야 할 일은 연구를 뒷받침할 수 있는 문헌 자료를 체계적으로 수집하는 것으로, 이는 연구보다 몇갑절 중요한 사업”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이에 대한 사례로 “저명한 시인이 인천의 한 강연에서 인천상륙작전 당시 미군이 인천을 융단 폭격, 지역을 초토화했다고 말했으나 정작 미공군전쟁사의 자료와 당시 인천에 거주했던 인사들의 증언에 따르면 당시 미공군의 폭격은 없었던 것으로 밝혀졌다”며 “역사적 사실에 근거하지 않은 이 같은 언설(言說)은 빈약한 자료에 기인 것으로 결국 역사의 왜곡을 불러온다”고 밝혔다.
 조씨는 이에 앞서 “3·1운동 당시 인천은 삼엄한 환경속에서도 간단없이 만세 운동을 펼쳤으며, 이같은 사실이 인천일보 등의 지면을 통해 대대적으로 보도가 됐으나 정작 인천시 교육청이 제작한 초등학교 교과서에는 3·1운동과 인천의 연관성에 대해 한 줄도 실리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또 “역사의 진실이 왜곡되고 짓밟혀도, 국보급 문화재가 외지로 팔려나가도 관심없이 그저 차이나타운이 없어 창피하다고 말하는 인식의 한계를 보이고 있다”고 인천의 역사의식을 질타했다.
 이원규 동국대 겸임교수는 토론에 나서 “일반적 지역학이나 향토사학이 막연한 짐작으로 기술되는 데 반해 실증과 방증을 토대로 한 인천학 연구는 올바른 태도”라며 “일부 학계의 몫으로 밀어놓은 부분들도 모두 향토사학계가 맡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교수는 “아직 인천의 오랜 역사와 구전 설화 등을 알고 있는 노인들은 그 자체가 유산”이라며 “이들의 기억을 수집하고 체계화하는 것 또한 실증과 방증자료보다 소중하다는 차원에서 연구에 나서야한다”고 강조했다. /조태현기자 cho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