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이 인천에선 ‘도덕성 상실의 계절’이 되고 있다.
계절이 막 가을의 문턱을 넘어 설쯤 터진 ‘굴비상자’사건으로 안상수 시장이 곤혹을 치른데 이어 이번엔 인천시의원들이 과거사(?) 청산 문제로 몸살을 앓고 있다.
물론 두 사건의 본질은 크게 다르지만 공통점은 스스로 문제를 키웠고, 결과적으로 도덕성의 상처를 자초하고 말았다는 것이다.
얼마 전 대전시의회에서도 시의원의 각종 청탁·이권개입 등을 폭로한 ‘인물 품평서’가 나돌아 지방정가가 발칵 뒤집힌 적이 있었다.
당시 익명으로 인터넷에 오른 이 사건에 비해 인천시의원의 사태가 주목되고 있는 것은 한 시의원이 공식회의 석상에서 연일 문제를 폭로했다는데 있다. 내부고발자 또는 내부감시자 역할을 자처한 셈이 됐기 때문이다.
이로인해 그동안 시의원들 사이에서 시기 및 견제성으로 떠돌던 피감기관의 로비성 외유와 술접대의 실체가 여실히 드러나고 말았다.
그것도 주요 현안 처리를 앞두고 특정 상임위 단체로, 또는 예산과 관련한 외유성이었던 것이고 보면 문제의 심각성은 새삼 재론할 가치가 없다.
폭로의 순수성을 가늠하기 어렵지만 4대 시의회가 전·후반기 원구성을 거치면서 특정 계보 간 또는 의원 간 만연된 갈등과 반목에서 비롯됐다는 의혹이 적지 않다.
그러나 문제는 이같은 추태가 그동안 관행으로 덮어져 왔고, 시의회 내부의 골 깊은 갈등구조의 봉합 대상물로 여겨지고 있다는 것이다.
사태가 이쯤까지 확대됐는데도 당사자로 지목된 시의원들은 여전히 침묵으로 일관하고 있다. 심지어 시의회 내부의 갈등구조 봉합에서 사태 해법을 찾으려 하고 있다.
이번 사태의 본질은 ‘우리 탓’이 아닌 ‘내 탓’에 있고, 보다 분명한 것은 부덕한 행위가 시의회 정상화를 위한 타협의 대상이 될 수 없다는 것이다.
강산(江山)이 변해도 정치권이 안 바뀌는 이유는 부도덕한 관행을 여전히 ‘우리’라는 집단 이기주의와 ‘네 탓’으로 돌리고 있기 때문이다. /박주성기자 jsp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