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 김선일씨의 사망과 테러 위협에도 정부의 ‘8월중 전투병을 포함한 파병’이 초읽기에 들어갔다.
 정부는 이라크 재건과 국제사회와의 공조를 주된 파병 이유로 들었다. 고 김선일씨의 피랍에도 파병방침을 강하게 확인했던 정부는 테러단체에 굴복할 수 없다며 이달중 파병을 공식화했다.
 정부의 방침이 공고할수록 파병 반대 여론도 전국적으로 들끓고 있다.
 인천지역에서도 민주노동당 인천시당과 시민단체, 대학생 등을 중심으로 파병철회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민노당 인천시당에서는 이미 지난 29일부터 지구당 위원장과 당원이 릴레이 단식에 들어갔고 인천·부천지구총학생회연합(인부총련)의 대표자 10명도 광화문에서 단식을 벌이고 있다.
 인부총련 소속 대학생 120명은 매년 8월 인천지역에서 벌이는 지역통일선봉대 활동방향을 파병철회에 맞췄다.
 이들은 “이라크 파병은 명분과 실익이 없는 침략전쟁에 동참하는 것”이라며 “노무현 정부가 파병을 강행할 경우 이를 반대하고 있는 국민 다수의 저항에 직면할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지난해부터 계속된 파병 강행·반대 논쟁속에 특히 파병이 8월중 이뤄질 것으로 알려지면서 강도를 높여가고 있는 추세다. 파병에 대한 논쟁은 평행선을 그리고 있다.
 8월은 일제의 36년 압제에서 벗어난 기쁨의 달이기도 하지만 분단의 아픔을 안고 있는 달이기도 하다. 광복절인 15일에 맞춰 시민단체와 대학생들이 통일문화행사 등 다양한 통일행사를 벌이는 것도 이런 이유다.
 대한민국의 파병은 베트남전쟁 때 처음으로 이뤄졌다. 그리고 동티모르와 이라크에 파병됐다.
 그러나 베트남전 참전과 동티모르 재건 파병에는 국제적으로 상반된 평가를 받고 있다. 파병에 대한 성격도 중요하지만 ‘누구의 요청’에 의한 파병이냐도 국제적인 시각에서는 중요하게 여겨지기 때문이다.
 시민단체와 대학생들이 통일행사의 주된 과제로 파병철회를 외치는 것은 ‘파병’과 ‘평화, 공존’이 같은 선상에 있을 수 없다는 인식에서다. 통일이 평화와 공존으로 가는 길이라면 파병은 또 다른 폭력을 낳을 수 있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어가고 있다. /김칭우기자 ching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