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각 당이 정치, 경제, 사회 각 분야에 걸쳐 경쟁적으로 많은 총선 공약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당 부문이 재원조달 계획조차 마련되지 않은, 표 만을 의식한 현실성 없는 선심 공약이라는 비판을 받고 있다. 지방 공약 역시 중앙부처와 이미 협의가 진전된 시정 주요 현안을 경쟁적으로 베낀 졸속공약들이다. 선심공약은 자칫 나라경제에 부담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경계하지 않으면 안된다.
 각 당에선 고심 끝에 내놓은 공약일 수 있으나 구체적인 대안이나 현실성이 없는 내용이 적지 않은 게 사실이다. 더욱이 장미빛 정책들을 경쟁적으로 내놓는 것은 구태의연하다는 느낌마저 갖게 한다. 유권자들이 과연 실현될 수 있을지에 대해 의문을 갖는 것은 당연하다.
 전 국민에게 연금 혜택을 주고 임대주택 150만호를 건설한다는 취지는 좋으나 재원조달 방안이 분명치 않다. 등록세 및 취득세 완화 등도 이를 실현하려면 급격한 세수감소가 우려된다. 실업고 전면 무상교육, 기초생활보상자 대폭 확대, 고령자 고용촉진제 도입 등도 경제에 큰 부담을 줄 것이 뻔하다. 혜택을 입을 국민들조차 고개를 갸웃거릴 정도라면 분명 문제다.
 일자리 창출이나 신용불량자 구제 공약도 설득력이 모자란다. 공공부문의 채용을 늘려 실업문제를 해결한다지만 근본대책은 되지 못한다. 실업은 침체된 경제를 살려 기업의 활력을 회복시키고 일자리를 더 늘리는 것 외에 달리 뾰족한 대책이 있을 수 없다. 국민기금 조성을 통해 신용불량자 문제를 풀겠다는 것도 오히려 국민의 도덕적 해이를 더 조장할 우려가 높다.
 정당들이 왜 이런 선심성 공약을 남발하는지는 분명하다. 유권자들의 환심을 사 표를 모으자는 것이다. 유권자들이 이런 장미빛 선심공약에 넘어가지 말아야 한다. 우리 경제는 4년 전 총선의 선심공약으로 심한 후유증에 시달려 왔다. 부동산 가격폭등이나 400만명에 이르는 신용불량자 양산도 이에 연유한다. 거짓 공약으로 표를 얻으려 하는 것은 구시대적 발상으로 개혁해야 할 정치행태다. 현안을 중심으로 보다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해결책을 제시하는 것이 오히려 국민들의 신뢰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각 정당은 알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