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미도 문화의 거리, 신포 문화의 거리, 구월 문화의 거리, 부평 문화의 거리… 인천에는 지자체가 지정한 공식 문화의 거리가 있다. 그렇다면 이 문화의 거리는 인천시민들에게 무엇인가. 문화의 거리들은 과연 인천시민들의 기대를 충족시켜주고 있는가.
 인천문화비평 2003년 하반기호(14호)가 인천문화 공간을 세밀하게 진단해 눈길을 끈다. 14호는 ‘왜 문화의 거리를 활성화해야 하는가’란 질문과 대답을 시원하게 쏟아 놓는다.
 기존의 논의들이 주로 ‘어떻게’ 하면 문화의 거리를 활성화 시킬 수 있을까 주목했다면 이번 기획에선 ‘왜’ 그래야 하는가라는 근본적 질문을 던진다.
 인천문화비평은 그렇게 묻는 이유에 대해 “이미 문화의 거리를 활성화 시키기 위해 제안된 다양한 아이디어들이 단순 상품전시장으로 전락했기 때문”이라고 답변한다.
 인천문화비평은 오히려 경제적 효율성과 공간의 상품화를 근간으로 하는 도시공간 구성방식이 그 자체에 대한 반성에서 촉발되 문화의 거리를 짓누르고 있는 현실에 주목한다. 따라서 지난 30∼40년 동안의 압축적 근대화 과정에서 지배적이었던 도시공간의 구성원리 자체에 대한 철저한 반성이야말로 문화의 거리 활성화의 전제임을 강조한다. 일회적인 욕망의 배출구가 아닌 압축적 근대화 과정에서 잃어버렸던 공적 공간의 회복, 이것이 문화의 거리가 존재해야 하는 이유라고 주장한다.
 이진희는 인천지역 문화의 거리 특징을 관광객·소비자 유인 등 해당지역 상권 활성화와 상업주의의 침투로 꼽는다. 그는 인천문화의 거리를 상품화·사유화로 규정한다. 그는 ‘문화지구관련조례’ 제정을 제안하며 문화지구로 지정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조명래는 공간의 사유화와 상품화, 즉 반 공공성을 우리 도시의 가장 치명적 약점으로 파악한다. 이때문에 도시공간의 공공성 회복을 위한 새로운 기획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역설한다. <김진국기자> freebird@incheo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