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정분야
 ▲인천의 미래 전망과 도시상
 ‘인천시의 미래에 대한 전망’을 묻는 질문에 ‘나아질 것’이라는 응답이 9.1%에 불과했고, ‘나빠질 것’이라는 부정적인 응답이 50.6%로 매우 높았다. ‘큰 변화가 없을 것’이라는 응답도 40.3%로 나타났다.
 연령대별로는, 30대(3.56)가 가장 긍정적인 응답을 한 가운데, 연령이 많아질수록 부정적으로 응답하는 경향을 보여 50대 이상(3.34)이 가장 낮았다. 특히 전문가들은 부정적인 응답이 무려 83.8%로 일반시민보다 훨씬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천시가 향후 어떠한 도시로 발전하기를 원하느냐’는 시민 대상의 질문에 응답자의 32.4%가 ‘균형 있게 잘 사는 복지도시‘를, 19.0%가 ‘공해 없는 청정도시’를 꼽았다.
 이어 ‘동북아 물류 중심도시’(15.1%), ‘국제화된 세계도시’(13.9%), ‘교육, 문화적 품격이 높은 도시’(13.1%) 순으로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나 인천시가 최우선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미래 도시 모습인 ‘동북아 물류 중심도시’는 시민들의 정서와 다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전문가들이 생각하는 인천시의 이상적인 도시 모습은 ‘동북아 물류 중심도시’(34.6%)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국제화된 세계도시’(22.3%), ‘교육, 문화적 품격이 높은 도시’(15.4%), ‘균형 있게 잘 사는 복지도시’(11.5%), ‘공해없는 청정도시’(9.2%), ‘기업하기 좋은 도시’(6.9%)순으로 나타났다.  
 ▲ 경제자유구역 개발사업
 일반 시민들의 인천시의 경제자유구역 개발사업에 대한 인지도는 ‘알고 있다’는 긍정적인 응답이 35.3%였고, ‘모른다’는 부정적인 응답이 64.6%로 조사됐다.
 경제자유구역청의 설립으로 본격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경제자유구역 개발사업에 대해 일반시민들의 65% 정도가 모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인천시의 주요정책이 시민들에게 적절하게 홍보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전문가들은 인천시의 경제자유구역 개발사업에 대한 인지도가 78.5%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송도정보화신도시 등 경제자유구역 개발사업이 인천의 발전에 어느 정도 기여할 것으로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일반 시민들은 ‘기여할 것’이라는 긍정적인 응답이 88.8%였고, ‘기여하지 않을 것’이라는 부정적인 응답은 11.2%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긍정적인 응답이 일반시민보다 더 높은 95.3%였고, ‘기여하지 않는다’는 부정적인 응답이 불과 4.9%로 나타나 전문가들이 시민보다 경제자유구역 개발사업의 기대효과를 크게 생각하고 있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
 일반시민들의 경우 연령별로는, 20대(3.14)가 가장 부정적인 응답을 한 가운데, 연령이 높을수록, 소득이 많을수록 긍정적인 응답을 하는 경향을 보였다.
 일반 시민들은 ‘경제자유구역 개발 사업이 성공하기 위해 필요한 요인’에 대한 질문에 대해 ‘해외자본 및 기업의 유치’(37.7%)에 가장 높은 응답률을 보였고, 다음은 ‘중앙정부의 적극적 지원’(34.1%), ‘시민들의 참여와 지지’(10.3%), ‘법, 제도의 정비’(10.3%), ‘개발 재원의 확충’(6.3%)순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 역시 이에 대한 질문에 대해 ‘해외자본 및 기업의 유치’(41.2%)에 가장 높은 응답률을 보였고, ‘중앙정부의 적극적 지원’(40.2%), ‘시민들의 참여와 지지’(8.8%), ‘법, 제도의 정비’(5.9%), ‘개발 재원의 확충’(3.9%)순으로 지적했다.
 ▲인천시의 분야별 정책추진 만족도와 정책과제
 현재 인천시의 정책추진에 대한 만족도는 2.53으로 ‘보통’을 약간 하회하는 수준으로 나타났다.
 분야별 정책추진에 대해 일반시민의 경우 ‘행정서비스’(2.92)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았고, ‘환경상태’(2.32)의 만족도가 가장 낮았다.
 이밖에 ‘도시관리’(2.66), ‘문화여건’(2.58), ‘지역교통’(2.49), ‘교육환경’(2.49), ‘복지수준’(2.45), ‘경제여건’(2.37)순으로 나타났다.
 전문가의 경우도 역시 ‘행정서비스’(2.95)가 가장 높았고, 다음은 ‘도시관리’(2.61), ‘지역교통’(2.41), ‘복지수준’(2.40), ‘경제여건’(2.29), ‘문화여건’(2.18), ‘교육환경’(2.15), ‘환경상태’(2.15)순으로 나타났다.
 성별로는 남자(2.56)가 여자(2.50)보다 상대적으로 만족도가 더 높았다. 
 거주기간별로는, ‘10년 미만’(2.50)과 ‘30년 이상’(2.51)이 가장 만족도가 낮았고, ‘10년~20년 미만’(2.57)이 만족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별로는, ‘100만원 미만’(2.73)이 만족도가 가장 높았던 반면, ‘400만원 이상’(2.36)이 만족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집계됐다.
 전문가의 경우 현재 인천시의 정책추진 만족도는 전체적으로 보면, 2.39로 ‘다소 불만족스러운 편’으로 조사됐다.
 성별로는 ‘여자’(2.53)가 ‘남자’(2.34)보다 상대적으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거주기간별로는, ‘10년~20년 미만’(2.55)이 만족도가 가장 높은 가운데, 기간이 길어질수록 만족도는 낮아지는 경향을 보여, ‘30년 이상’(2.26)이 가장 낮은 만족도를 보였다.
 연령별로는, ‘20대’(3.00)가 가장 높은 만족도를 보인 가운데, 연령이 많아질수록 만족도가 낮아지는 경향을 보여, ‘50대 이상’(2.37)이 가장 만족도가 낮았다.
 시민들을 대상으로 현재 인천시의 분야별 정책추진 만족도에 대한 질문에 ‘행정서비스’(2.92)의 만족도가 가장 높았고, 다음은 ‘도시관리’(2.66), ‘문화여건’(2.58), ‘지역교통’(2.49), ‘교육환경’(2.49), ‘복지수준’(2.45), ‘경제여건’(2.37), ‘환경상태’(2.32) 순 이었다.
 전문가 집단의 정책 추진 만족도는 ‘행정서비스’(2.95)에 만족도가 가장 높았고, 다음은 ‘도시관리’(2.61), ‘지역교통’(2.41), ‘복지수준’(2.40), ‘경제여건’(2.29), ‘문화여건’(2.18), ‘교육환경’(2.15), ‘환경상태’(2.15)순 이었다.
 인천시가 시급하게 추진해야 할 정책분야에 대한 시민들의 답변은 ‘지역경제의 활성화’(30.4%)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다음은 ‘환경오염의 개선’(26.1%), ‘교육, 문화수준의 향상’(15.9%), ‘복지서비스의 확대’(13.9%), ‘대중교통수단 확충’(12.8%)순으로 나타났다.
 전문가 역시 인천시가 시급하게 추진해야 할 정책분야는 ‘지역경제의 활성화’(34.6%)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다음은 ‘교육, 문화수준의 향상’(26.2%), ‘환경오염의 개선’(20.8%), ‘대중교통수단 확충’(12.3%), ‘복지서비스 확대’(4.6%)순으로 나타났다.
 ‘인천시 주요 정책들이 시민들로부터 신뢰를 얻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이 무엇인가’라는 설문에 일반 시민들은 ‘일관성 있는 정책 추진’(29.8%)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실현가능한 정책수립’(26.4%), ‘폭넓은 시민의견 수렴’(23.9%), ‘공무원 자질 및 업무능력 향상’(13.1%), ‘시점에 대한 공개’(5.1%) 순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인천시가 정책이 신뢰를 얻기 위해서는 ‘실현가능한 정책 수립’(40.8%)이 최우선이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은 ‘일관성 있는 정책추진’(20.8%), ‘폭넓은 시민 의견 수렴’(16.9%), ‘자질 및 업무능력 향상’(12.3%), ‘시정에 대한 공개’(7.7%)순 이었다.
 ‘시정에 참여하실 생각이 어느 정도 있느냐’는 질문에 일반시민들의 경우 ‘참여할 의향이 있다’는 응답이 26.5% 였고, ‘의향이 없다’는 응답이 66.2%로 훨씬 높았다. 전체적으로 보면 평균 2.35로 시민참여 의향은 ‘보통’ 이하로 분석됐다.
 반면에 전문가들의 경우 ‘시정에 참여할 의향이 있다’는 응답이 62.3%로 높았고, ‘의향이 없다’는 응답도 33.8%나 됐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보면, 3.48로 ‘보통’을 상회하여 시정 참여욕구가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시민들의 66.2%는 시정 참여에 대한 의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전문가들은 전문가의 62.3%가 시정 참여에 대한 의향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정치분야
 ▲ 인천지역 정치인 활동 평가 및 17대 총선 후보자 선택기준
 현재 인천지역 현역 국회의원 등 정치인들의 활동에 대한 만족도에 대한 질문에 ‘만족한다’는 응답이 3.7%에 불과하고, ‘불만족한다’는 응답이 68.2%로 나타나 정치인들의 활동을 매우 부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도 역시 인천지역 정치인들의 활동에 대한 불만이 매우 높은 것(69.3%)으로 나타났다.
 특히 시민들의 경우 정치인들의 활동에 만족한다는 응답비율이 3.7%로 매우 낮고 연령이 높아질수록 만족도가 낮게 나타나 정치에 대한 불신감과 냉소적인 시각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전문가들의 경우도 만족도가 낮게 나타나고 있으나 타 분야의 만족도와 상이하게 전문가들의 만족도가 시민들의 만족도 보다는 높게 나타나고 있는 데 이는 전문가들 중 시의원 및 구의원이 포함되어 있는 것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올 4월 15일에 치러질 17대 국회의원 총선거에서 후보자 선택 기준은 일반시민과 전문가가 다르게 나타났다.
 일반시민의 경우 4월에 치러질 17대 국회의원 총선거에서 후보자 선택 기준으로는 ‘도덕성’(40.3%)을 첫 번째로 꼽았고, 다음으로는 ‘참신성(20.5%), ‘개혁성’(16.2%), ‘개인적 역량’(15.1%), ‘출신정당’(7.1%)순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전문가들은 국회의원 총선거에서 후보자 선택 기준으로 ‘개인적 역량’(36.9%)을 최우선으로 꼽았고 그 다음으로 ‘도덕성’(28.5%), ‘개혁성’(14.6%), ‘참신성’(10.0%), ‘출신정당’(5.4%)을 선호했다.
 전문가들은 기존 정치인들 중 함량미달의 정치인들에 대한 강한 거부감으로 전문성을 갖춘 역량 있는 정치인을 후보자 선택기준으로 생각하고 있으며 시민과 전문가 모두 출신정당은 선택기준에서 주요 기준이 아닌 것으로 조사돼 눈길을 끌고 있다.
 
 ?수도권 분야
 ▲국가균형발전특별법 인지 및 효과 여부
 일반시민의 경우 수도권 집중 억제를 위해 정부에서 추진중인 국가균형발전특별법에 대한 인지도는 ‘안다’는 응답이 22.4%이고 ‘모른다’는 응답이 77.5%로 높았다.
 이에 반해 전문가들 중 수도권 집중 억제를 위해 정부에서 추진중인 국가균형발전특별법에 대해 62.3%가 ‘인지하고 있다’고 응답했고, ‘모른다’는 응답도 37.7%나 높은 수치를 차지했다.
 ‘수도권 집중 억제를 위해 정부에서 추진중인 국가균형발전특별법이 수도권 집중 억제에 어느 정도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일반시민들은 ‘효과가 있을 것이다’는 응답이 39.3%였고, ‘효과가 없을 것이다’는 응답이 44.1%, ‘보통’이 13.1%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국가균형발전특별법의 수도권 집중 억제 효과정도에 대한 응답에 ‘효과가 있을 것이다’는 응답이 47.5%였고, ‘효과가 없을 것이다’는 응답이 41.3%, ‘보통’이 11.3%로 나타났다.
 ▲ 서울과 인천·경기 격차 문제 및 요인
 일반시민들은 전반적으로 현재 서울과 인천·경기간의 격차에 대해 ‘차이가 작다’는 응답이 11.9%였고, ‘크다’는 응답이 84.3%(‘보통’이 2.8%임)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보면, 4.14로 서울과 인천·경기간의 격차를 크게 느끼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연령별로는 ‘20대’(4.01)가 가장 격차가 적다고 응답한 반면 ‘40대’(4.36)가 가장 크다고 답했다.
 학력별로는 ‘고졸’(4.09)이 가장 격차를 적게 느끼게 있으며, ‘대졸’(4.23)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전반적으로 현재 서울과 인천·경기간의 격차에 대한 인식으로는 ‘작다’는 응답이 8.4%였고, ‘크다’는 응답이 90%(‘보통‘이 1.5%)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보면, 4.26으로 서울과 인천·경기간의 격차를 크게 느끼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성별로는 ‘남자’(4.29)가 ‘여자’(4.19)보다 격차에 대한 인식이 더 컸고, 연령별로는 ‘30대’(4.09)가 격차인식이 가장 작은 가운데, 연령이 많아질수록 격차를 더 크게 느끼는 경향을 보여, ‘20대’(4.50)를 제외하고 ‘50대 이상’이 가장 격차를 크게 느낀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수도권내 서울과 인천·경기간에 가장 큰 격차에 대해 일반 시민은 ‘소득’(31.8%)을 제일 먼저 꼽았고, 다음은 ‘문화’(30.1%), ‘교육’(25.6%), ‘기업환경’(11.9%)순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이 느끼는 수도권내 서울과 인천·경기간에 가장 큰 격차요인에 대해서는 ‘교육’(32.3%)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다음은 ‘소득’(28.5%), ‘문화’(28.5%), ‘기업환경’(8.5%)순으로 집계됐다.
 일반시민들은 서울과 인천·경기간에 가장 큰 격차요인으로 소득, 문화, 교육 순으로 응답한 반면, 전문가들은 교육, 소득, 문화 순으로 응답해 격차요인에 대해서 느끼는 정도가 다소 다르게 나타났다.
 <양순열기자> syyang@incheo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