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5·23주택가격 안정대책 발표로 최근 주택시장이 크게 위축된 가운데 부동산 안정대책에서 비껴난 공공택지내 상가용지가 투자자들이 몰리면서 인기를 끌고 있다.
그동안에는 주택시장 붐을 타고 시중 부동자금들이 신규 분양시장, 재건축시장 등 주택시장에 몰렸으나 주택가격 안정에 역점을 5·23 조치이후 규제가 상대적으로 적은 공공택지내 상가용지로 눈을 돌리고 있다.
지난달 26일 주택공사가 실시한 삼산1지구내 근린생활시설용지 경쟁입찰에서는 응찰자들이 대거 몰려 치열한 경합을 벌였다. 이날 실시한 입찰에서는 입찰대상 16필지에 375명이 참가, 평균 23.4대 1의 높은 경쟁율을 기록했다. 근생용지의 입찰경쟁이 치열한 탓에 16필지 총 공급 예정가격이 132억3천405만원이었으나 총 낙찰가가 286억6천778만원을 기록하면서 평균 낙찰률이 210%에 달했다.
특히 관심을 모았던 준 1-6필지의 경우 응찰자가 35명이나 몰리면서 공급 예정가격보다 2.56배 높은 가격에 낙찰됐다.
이에 앞서 토지공사가 지난달 4일 실시한 남양주시 평내·마석지구내 근린생활용지 매각 입찰에서 일부 토지는 공급 예정가격의 2.5배가 넘는 가격에 매각되기도 했다.
입찰 당시 평내·마석지구 근생용지는 총 공급토지 9필지에 213명이 응찰해 평균 23.7대 1의 경쟁률이 빚어져 평균 197%의 낙찰률을 보이는 등 수도권내 공공택지 상가용지에 몰린 투자열기를 반영했다.
용도상 준주거지역에 해당되는 근생용지가 상업지역보다 상대적으로 용적률(350% 이하)과 층고 (6층 이하) 제한이 큰 점을 감안하면 이같은 낙찰율은 상당히 높은 것이다.
이처럼 공공택지내 근생용지의 입찰 경쟁률이 치열한 것은 정부의 주택가격 안정책으로 주택시장의 규제가 심해지면서 상대적으로 규제가 덜한 상가 토지에 투자자금이 몰리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그러나 공공택지내 근생용지는 건축을 할 수 있는 시기까지 시간이 소요돼 금융비용 부담이 크고 주택에 비해 상대적으로 투자안정성이 떨어진다는 약점을 안고 있다.
부동산 전문가들은 “상가토지는 낙찰가가 높아지면 투자수익이 떨어질 가능성이 높은 만큼 공공택지내 상가토지라 하더라도 장래 수익성을 꼼꼼히 분석해 투자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구준회기자> jhkoo@incheo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