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암(雲岩)이 어떤 사람인지는 모르나 적어도 일반 백성은 아니었으리라. 호를 운암이라 한 것을 보아 구름처럼 세상을 두루 돌아보며 세상살이의 참뜻을 구하던 선비가 아니었을까? 전설에 따르면 구척장신에 힘 또한 장사였으니 세상 번잡한 일에 마음을 조리고 얽매이는 소인배와는 격이 달랐던 인물이 아니었겠는가?
지금은 아파트의 숲이 된 오산운암들에 전하는 운암(雲岩)의 이야기는 다음과 같다. 아주 오랜 옛날에는 오산천에 제방이 없어 장마만 지면 물이 범람하여 농사에 막대한 피해가 있었다. 그러나 제방을 쌓을 수 있는 능력이 없어 고민하였다. 그런데 어느 날 길을 지나던 과객이 금암리 어느 진사의 집에서 식객 노릇을 하게 되었는데, 과객은 구척장신에 힘이 장사였다고 한다.
범상치 않은 인물임을 알고 아무런 말도 하지 않고 있었더니, 과객이 며칠동안을 무위 도식하며 지내다 하루는 진사에게 “신세를 많이 졌으니 도와드릴 일이 없냐?”고 물었다. 이에 진사가 오산천 범람에 대해 말하니 과객은 딱한 사정을 듣고는 “내가 제방을 쌓아 줄테니 몇월 며칠 보름날까지 큰 가래를 하나 준비하고, 통돼지 일곱 마리와 술 일곱 동이를 준비해 달라.”고 하더란다.
진사는 어이가 없었으나 과객의 인물됨이 보통 이상이라 사람을 시켜 수원 광교산에서 큰 물푸레나무를 하나 베고, 수원의 대장간에서 큰 가래삽을 만들어 소로 끌고 오산으로 왔다. 드디어 약속한 날짜에 과객이 하루종일 낮잠을 자고는 저녁에 일어나 진사에게 말하기를 “내가 지금부터 일을 시작하니 마을 사람들에게 말하여 아무도 밖에 나오지 말아달라.”고 이른다.
진사가 그렇게 하겠다고 약조는 하였으나 너무 궁금하여 마을 주민들과 몰래 숨어서 과객의 하는 짓을 보니 과객은 그 큰 가래를 한 손으로 들고는 오산천에서 일을 하는데 개천의 바닥의 흙과 모래를 떠서는 왼쪽에 쌓고, 또 떠서는 오른쪽에 쌓으니 순식간에 제방이 되더란다. 한참을 그렇게 일을 하더니 통돼지 한 마리를 먹고는 술 한 동이를 마시고 이런 식으로 제방을 쌓는데 새벽이 되어 동이 틀 무렵에는 오산천의 제방이 다 쌓여졌다고 한다. 밤새 숨어서 구경을 하던 진사와 마을 사람들은 피곤하여 새벽에 집으로 들어가 잠을 자고 일어나니 오산천의 제방은 완성되어 맑은 시냇물이 흐르고 있더란다.
한편, 과객은 밤새도록 오산천의 제방을 쌓는 일을 마치니 동녘에 붉은 해가 떠올라 이제는 떠날 때가 되었음을 알고 진사에게 떠나겠노라 인사를 드리니 진사를 비롯한 주민들이 사례를 하고자 하였으나 사절하고 유유히 한양을 향해 길을 떠났다고 한다. 그때까지 그 과객의 이름을 모르던 주민들은 과객에게 이름을 물었으나 말하지 않았다.
그런데 과객이 오산을 떠나 한양을 향해 화성군 동탄면 미륵뎅이를 지나 영천리로 가다가 길 가운데 나무 두 그루가 있어 체격이 크고 몸집이 좋은 과객을 가로막자 돌아가지 않고 나무를 뿌리째 뽑아 놓고는 그 나무에다 운암발목(雲岩拔木)이라 써놓아 주민들이 그때서야 그 과객의 이름이 운암인 줄 알게 되었고 그에 대한 고마운 마음에 그때부터 오산천변의 들판을 운암들이라 부르게 되었다고 전한다.
설화에서 이인(異人)이 말하는 금기(禁忌)를 어길 경우 화를 당하게 되는 것이 통례인데 운암들의 전설에서는 마을사람들이 금기를 어겼음에도 화를 입지 않았다는 점이 특이한 유형이라 할 수 있다. 아무튼 그 이인의 이름을 알게된 이야기의 배경에 보이는 미륵은 실제로 존재하는 미륵불상이다. 화성시 동탄면 면사무소 옆에 가면 야트막한 산이 있고 그 첫머리에 미륵불이 바로 그것이다. 현재 미륵불상은 개석(蓋石)은 떨어져 깨어진 채로 있다. 개석인 갓의 모양이 원형임으로 보아 남자 미륵인 듯하다.
이 미륵불상에는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전한다.
우리 나라의 지세로 볼 때, 우리 나라에는 많은 장수(將帥)가 날 형세(形勢)라고 한다. 청과 일본은 우리 나라에 많은 장수가 나면 자신들의 나라가 위험하다고 생각했다. 이에 청과 일본은 몰래 사람을 우리 나라에 보내어 장수가 나는 것을 사전에 막아보고자 했다.
장수가 나게 될 혈(穴)을 찾아서 청과 일본이 함께 조성한 것이 동탄의 미륵불이라 한다.
아무튼 문화적 공동체인 옛 수원의 정신문화에 뿌리를 두고 있는 동탄의 미륵불이 훼손된 채 방치되고 있는 것은 가슴아픈 일이 아닐 수 없다. 깨어진 개석이라도 복원하여 미륵불상의 온전한 모습이 보전되기를 소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