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분권화와 지방언론
  정치2부장 이인수 
 
 내년 2월 임기를 시작으로 이 나라를 이끌어갈 제16대 대통령이 결정됐다. 21세기 새 대통령 민주당 노무현 당선자는 ‘낡은 정치’ 청산으로 개혁을 부르짖은 국민이 뽑은 젊은 대통령임에 틀림없다.
 그만큼 임기중 5년간은 국민의 희망을 저버리지 않는 당당하고도 부정부패가 없는, 행복하고 살기 좋은 나라를 반드시 만들어야 한다는 짐을 지고 있다.
 노 당선자는 그동안 대선 공약으로 많은 것을 제시했다. 이 가운데에서도 중요한 대목이 있다. 다른 대선 후보들과 한 목소리를 낸 ‘지방분권화’에 대한 공약이다. 노 당선자의 ‘지방분권화’는 한마디로 지역균형 발전과 지역주의 폐해를 극복한다는 구상이다. 지방분권화를 촉구해온 지식층과 사회단체의 입장에서 볼 때 지방분권화의 움직임은 다행스러운 일이라고 생각한다. 중앙집권의 폐해가 이미 ‘위험수위’를 넘어섰기 때문이다.
 앞으로 지방분권화를 실현하는 데는 대통령으로 당선되는 과정보다 더 힘든 시련과 역경을 거쳐야 할 것으로 본다. ‘지역균형 발전’과 ‘지역주의 폐해 극복’이란 두 마리의 토끼를 잡아야 할 것이다. 여기서 짚고 넘어가고 싶은 말이 있다. 지방분권화를 통한 지역살리기 부분이다. 특히 지방언론의 활성화를 강조하고 싶다.
 지난 88년 ‘노태우 정권’이 들어서면서 오랜 세월 속에 묶여 있던 ‘언론의 자유’가 도래했다. 기나긴 탄압 속에서 언론이 자유의 몸이 되자 마침내 움츠린 몸을 활짝 세우듯 복간 및 창간되는 일간지들이 우후죽순격으로 늘어났다. 그러면서 15년의 세월이 흘렀다. 지방 일간지들은 그간 나름대로 ‘로컬’지의 자존심를 저버리지 않고 지역인들에게 알차고 생동감 넘치는 다양한 정보와 소식을 전하기 위해 무던히 애쓰며 일해 왔다고 자부한다. 지금도 다소 미흡한 점이 있지만 지역의 대변지로서 역할을 톡톡히 해내기 위해 배전의 노력을 거듭하고 있다.
 그러나 지방언론들의 현 위치는 상당히 힘든 상황이다. ‘릴레이식 창간’으로 지방지간 살아남기 위한 경쟁이 한계에 이르고 있다. 더군다나 수도권인 인천·경기지역의 일간지의 ‘포화현상’은 타 지방보다도 ‘위험수준’에 이른 듯 싶다. 가뜩이나 서울이 가까운 터라 오랫동안 ‘중앙지’ 인식에 흠뻑 젖어 있는 주민들로부터 외면당하고 있다. 게다가 최근 들어 중앙언론들의 무차별적인 경품공세에 밀려 한자리 차지하고 있던 시장마저 위태로운 실정이다.
 지난 5일 열린 ‘인천지역 신문 현실과 대안’을 주제로 한 세미나에서 지역의 정체성 및 지방분권화를 위해서는 지역언론의 활성화가 시급하다고 지적된 바 있다. 특히 고사위기에 처한 지역언론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지방신문육성특별법 등의 제도적 지원책이 강구돼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중앙집권적인 사회구조와 정체성이 부족한 지역현실로 인해 지방언론들이 심각한 위기에 처해 있고, 이 때문에 범시민적 관심과 지원책의 절실함이 요구된다는 내용도 쏟아졌다.
 노 당선자도 대선 당시 본지와의 인터뷰를 통해 “우리 언론계는 다른 나라와 비교할 때 유례를 찾을 수 없을 정도로 중앙언론이 차지하는 비중이 너무 크다”고 말했다. 따라서 ‘지방언론육성법’ 제정의 필요성을 느낀다고 밝힌 것처럼 지방언론의 중요성과 활성화가 요구된다고 내비쳤다.
 세미나에서의 지적이나, 노 당선자가 밝힌 지방언론육성법은 지방언론의 활성화에 반드시 필요한 대안이다.
 지방분권화 공약을 내세운 시점에서 지방언론의 현실을 다시 한번 숙지해 주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지방언론이 살아야 지방화시대가 열린다고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