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광역시민 정서함양과 지방문화예술의 창달을 위하여….’
 인천시립예술단(이하 ‘예술단’) 설치조례 제1조는 예술단의 존립근거를 ‘시민을 위해서’라고 규정하고 있다. 이는 시민들이 수준높고 재밌는 공연을 볼 권리가, 감독이나 단원들의 예술적 자아실현에 앞선다는 의미이다.
 예술단은 시민의 세금으로 운영한다는 사실을 차치하고라도, 시민이나 관객을 끌지 못하는 공연은 이미 죽은 공연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지금까지 예술단의 많은 공연은 그러나 ‘집안 잔치’라는 비아냥을 감수해야 했다. 집안 잔치가 될 수밖에 없었던 이유는 비전문가들에 의한 운영, 공연에 대한 홍보마인드 부족, 단원들의 제도권 안주, 예술단 내부의 빈번한 갈등 때문이다. 여기에 예술대학 하나 없는 척박한 지역예술 인프라, 지역예술 에 선입견을 갖고 외면하는 시민들의 인식 등도 한 몫 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작품이 좋으면 관객이 모이기 마련이다. 극단 ‘유씨어터’가 제작한 ‘백설공주를 사랑한 난장이’의 경우 처음 인천서구문화회관에서 조그맣게 시작했지만, 이후 전국의 연극무대를 휩쓴 대작이 되지 않았던가.
 좋은 작품의 배출은 무엇보다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운영체제에서 시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가 직영하는 회관운영방식을 전면 재검토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핵심은 시에서 독립시키는 것이다.
 현재 공공극장의 운영형태는 인천종합문예회관과 같은 직영, 세종문화회관과 같은 재단법인, 인천서구문화회관과 같은 시설관리공단운영, 전북소리의 전당이나 경남문예회관과 같은 민간위탁운영, 국립극장과 같은 책임운영기관제 운영 등 다양하다.
 이들 운영은 하나같이 일장일단이 있지만 원칙은 경상비를 절감하고 고객을 끌어모을 수 있는 다양한 마케팅 개발과 홍보, 극장과 단체간 공생방안의 모색으로 요약된다.
 ‘관객이 북적이는’ 공연을 위해선 예술단을 독립시켜 예술전문법인을 설립해 운영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온다. 독립성을 확보한 예술단은 자체 기획을 통해 좋은 무대를 만들고 결국 공연에 대한 평가는 예술단이 짊어지게 하는 구조로 가자는 것이다.
 이철순 전국문예회관연합회 사무국장은 “시설관리와 유지, 보수 등 공간운영 관리가 중요한 극장과 창조적 예술활동이 최우선인 단체가 얽힐 경우 부작용이 많다”며 “실제 국립극장에서 오페라단, 단체를 떼어내자 국립단체들은 활동성과 예술적노력이 증대됐다”고 말했다. 그는 “서구의 극장들은 단체를 소유하지 않고 단체와 함께 공생하는 상주단체 운영방식을 택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와함께 지금의 상임단원제도를 비상임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온다. 객원단원을 쓸 경우 작품선정에 따른 연출과 배역 선정의 폭이 넓어지므로 시민들은 보다 다채롭고 재미있는 공연을 관람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 관장을 민간전문가에게 맡겨 책임경영을 하도록 하며 단기적으론 현재 유명무실한 운영위원회의 권한을 강화하는 것이 개선책으로 꼽힌다. 단 민간전문가 운영체제로 갈 경우 상업성에 치우치지 않을 제도마련이 선행돼야 할 것으로 지적된다.
 이제 인천시가 결단을 내릴 때가 왔다. 그러나 회관이나 예술단 운영방식을 시가 일방적으로 결정할 경우 상황이 더 악화될 수도 있다. 따라서 회관 관계자들과 시민, 각계 각층 전문가들이 머리를 맞대고 논의해야 하는 자리가 한두번쯤은 있어야 한다는 여론이다.
 강광 인천대 부총장은 “시민단체가 주최하는 시민토론회를 열어 시립예술단 전체의 효율적인 운영과 극단문제를 논의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김진국기자> freebird@incheontimes.com